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석재·골재 자원정보관리의 해외 사례와 시사점

이용수 8

영문명
Information System for Architectural Rock & Aggregate in Major Countries and It’s Implication
발행기관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저자명
김대형(Daehyung Kim) 김유정(Yujeong Kim) 최용근(Yong-Kun Choi)
간행물 정보
『자원환경지질』57권 2호, 119~128쪽, 전체 10쪽
주제분류
자연과학 > 지질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4.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호주, 캐나다 등에서는 우리나라와 달리 석재·골재를 광물자원 중의 하나로 취급한다. 이러한 이유로 지방의 주정부 단위에서 광물자원 및 지질정보를 취급하는 기관이 석재와 광물자원 관련 정보를 통합하여 제공하고 있다. 이들 국가에서 광물 및 석재·골재 자원과 관련하여 제공하는 정보는 인터랙티브 맵, 지질도, 탐사 데이터 셋, 3차원 지질모델, 광업권리, 광산 및 광산관련 보고서 또는 요약자료 등으로 지방정부 및 지질조사기관의 웹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반면 한국의 경우 국내 법률에 따라 석재·골재는 광물자원과 분리되어 별도로 관리되며, 이에 따라 관련 정보도 한국광해광업공단, 국토교통부, 산림청,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등 여러 기관으로 분산되어 관리되고 있으며, 통합된 정보를 제공하고 있지 못한 상황이다. 따라서 석재·골재 자원의 확보와 효과적 활용을 위한 종합정보관리체제의 구축을 위한 거버넌스 개편과 정보체계화 구축을 위한 정책 및 제도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영문 초록

In Australia & Canada, architectural rock and aggregate are one of the mineral resources, and related data and information provided integrated with them. In these countries, the provided data and information, through the information system of local government and national geological survey organizations, are interactive maps, geological and thematic maps, exploration data set, 3 dimension geological models, minning rights status, survey reports and related papers etc. However, in case of Korea, aggregate and architectural rock are not assigned as the kind of mineral resources in accordance to domestic mining law, and related geological data and information are not provided from comprehensive mineral information system established in public geoscience organizations. And the administrative and informative management are conducted separately through the different governmental organizations such as Ministry of construction, Korea forest service, geoscience institute & Korea Mine & Reclamation Corporation. For securing the supply of architectural rock and aggregate resources, and for the convenience of their development & utilization, the unified information system and governance reform for the related industry is needed.

목차

1. 서 론
2. 해외 석재·골재 자원정보 구축 현황
3. 국내 석재·골재 자원정보 구축에 대한 정책 제언
4. 결 론
사 사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대형(Daehyung Kim),김유정(Yujeong Kim),최용근(Yong-Kun Choi). (2024).석재·골재 자원정보관리의 해외 사례와 시사점. 자원환경지질, 57 (2), 119-128

MLA

김대형(Daehyung Kim),김유정(Yujeong Kim),최용근(Yong-Kun Choi). "석재·골재 자원정보관리의 해외 사례와 시사점." 자원환경지질, 57.2(2024): 119-1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