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공무원 조직에서 리더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이 구성원의 잡크래프팅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33
- 영문명
- Effect of Leader's Communication Style on Job Crafting in Civil Service Organizations : Mediating effect of Voice Behavior
- 발행기관
- 경인행정학회
- 저자명
- 김용이(Yong Yi Kim) 남승하(Sung Ha Nam)
- 간행물 정보
- 『한국정책연구』제24권 제1호, 61~8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 시대 공무원 조직의 혁신에 효과적인 방안으로 잡크래프팅을 제시하였으며, 잡크래프팅의 선행요인으로 리더의 커뮤니케이션스타일(사교형·독선형)과 구성원의 발언행동에 의한 영향을 검증하고, 발언행동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A 중앙행정기관 공무원 352명의 유효 응답 자료를 바탕으로 구조방정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리더의 사교형 커뮤니케이션스타일은 발언행동을 매개로 잡크래프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둘째, 발언행동을 매개로 잡크래프팅에 미치는 효과의 크기는 인지, 직무, 관계 크래프팅의 순서로 나타났다. 셋째, 리더의 커뮤니케이션스타일 중 독선형은 구성원의 발언행동과 잡크래프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이는 독선적 커뮤니케이션스타일의 경우 심리적 변인에 유의하고 태도적 변인에는 유의하지 않게 나타난 선행연구들과 일치한다. 본 연구를 통한 이론적 의의는 첫째, 리더의 커뮤니케이션스타일에 따라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한 실증적 근거를 제시하였고, 둘째, 잡크래프팅의 3개 하위유형을 각각 개별 변인으로 하여 연구의 영역을 넓혔다는 것이다. 또한, 실무적으로 일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능동적 태도인 잡크래프팅을 높이기 위해 리더는 경청과 공감 기반의 커뮤니케이션스타일을 갖추어야 하며, 구성원이 창의적 아이디어를 자유롭게 발언할 수 있는 조직풍토를 마련해야 한다는 함의를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이론적 의의와 실무적 함의를 통해 급변하는 환경변화에 부응하기 위한 조직관리 차원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Job-Crafting as an effective method for innovating in civil servant organizations in the Digital-Transformation Era. It explores the impact of leaders' communication styles (Sociability, Dominance) and team members' Voice Behavior on Job-Crafting.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n data from 352 civil servants in a central administrative agency in South Korea, the study found that a leader's sociable communication style positively influences Job-Crafting through Voice Behavior. Specifically, the effect on Job-Crafting was greatest for Cognitive-Crafting, followed by Task-Crafting, and finally Relational-Crafting. Conversely, Dominance communication style by leader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members' Voice Behavior or Job-Crafting, aligning with previous research showing its limited impact on attitudinal variables.
The study's theoretical significance lies in providing empirical evidence on factors influencing leaders' communication styles and expanding research scope by individually examining three subtypes of Job-Crafting. Practically, it suggests that leaders should foster a communication style based on listening and empathy to enhance Job-Crafting, which involves positive perceptions and proactive attitudes towards work. This involves creating an organizational environment where members can freely express creative ideas. These findings offer organizational management insights to adapt to rapidly changing environments.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설계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 분석 결과의 논의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