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선시(禪詩)로 본 조선후기 승려의 삶과 술

이용수 7

영문명
Understanding the Life and Drinking of Monks in Late Chosŏn Buddhism Based on Sŏn Poetry
발행기관
불교학연구회
저자명
한수진(Su Jin HAN)
간행물 정보
『불교학연구』제78호, 61~89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3.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올바른 도덕적 실천으로 금주(禁酒)를 강조하는 불교 음주 윤리는 전통적인 한국불교에서 관용적이고 수용적인 태도로 변모한다. 조선 후기 선시(禪詩)는 한국불교 음주문화 일면을 은유적 표현으로 말해준다. 조선시대에는 유가 윤리와 도덕이 사회에 삶의 방식과 가치를 제시하고 문화 형성에 이바지하였으며, 술은 사회 전반에 걸쳐 일상생활에서 중요한 물질이었다. 이러한 사회문화 환경이 승려가 술 마시는 것을 용인하는 원인 중 하나로 작용하였다. 유자들과 사회적 교류가 많았던 승려들은 유가의 음주 윤리와 문화를 수행 생활에 차용하였다. 그 배경에는 사회가 승려의 음주를 부추기고 관용적 태도와 옹호로 지지한 점도 있다. 무엇보다 유자들은 승려들과 음주로 소통하려 했다. 승려들 역시 유자들과 같이 비언어적 소통 수단인 술과 음주로 그들과 친목을 쌓고, 생각과 마음을 표현하고, 시를 지으며 관계를 유지하여 승려의 음주는 수행자로서 그들 정체성에 모호함을 불러왔다. 이들이 보여준 삶의 모습은 유자들이 동경한 음주시인 도연명이 추구한 은인(隱人)과도 같았다. 음주는 승려들에게 파계라는 내적 갈등을 불러오기도 하지만, 이들은 자기 규제와 절제로 술을 대한다. 조선 후기 불교에서 술은 사회와 관계 유지 수단으로 한국불교가 처했던 시대상을 대변하는 물질이었다. 이러한 한국불교 음주문화는 그것이 비록 불교 윤리에 반하는 것이나 조선시대 강력한 사회적 힘을 가진 유가 사회에서 한국불교를 지탱해준 힘이었다. 그러나 불교가 처한 시대적 상황에 따라 불교 윤리가 다소 변형될 수는 있으나 근본이념을 잊어서는 안 된다.

영문 초록

The drinking ethics of Buddhism, which emphasizes temperance as a proper moral practice, changed to show a tolerant and receptive attitude toward drinking in late Chosŏn Buddhism. The poetry of monks uses metaphorical expressions to describe the background in which this drinking culture was formed. In the Chosŏn era, the ethics and morality of Confucianism presented society with a way of life and values that substantially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the surrounding culture, and alcohol was considered to be a very important substance in everyday life throughout society. The tolerant attitude toward and advocacy of alcohol use by Confucian society was one of the reasons why monks chose to drink alcohol. Monks, who frequently engaged in social exchanges with Confucian scholars, often reflected on the drinking ethics and culture of Confucianism in the context of their ascetic lives. Following the lead of Confucianism, they opted to engage in drinking culture, wherein alcohol served as a non-verbal means of communication that could help build relationships, including with the Confucians, as well as helping them express their thoughts and write poetry more freely. This lifestyle of drinking brought ambiguity to the identity of monks at the time. They led lives that were similar to the cloistral life pursued by Tao Yuanming, a notable drinking poet. Although drinking may have led to internal conflicts among Sŏn practitioners, they treated alcohol with an attitude of self-regulation and moderation. In late Chosŏn Buddhism, alcohol was a means of social exchange for monks, as well as a representative substance of that era of Korean Buddhism. This drinking culture of Korean Buddhism supported Korean Buddhism in the Confucian society of Chosŏn, which was socially powerful, despite being in conflict with Buddhist ethics. The specific circumstances affecting Buddhism at certain times may somewhat transform Buddhist ethics, but the fundamental spiritual thought should never be forgotten.

목차

Ⅰ. 서론
Ⅱ. 불교와 유교에서 바라보는 술
Ⅲ. 승려의 삶 속 술의 역할과 의미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수진(Su Jin HAN). (2024).선시(禪詩)로 본 조선후기 승려의 삶과 술. 불교학연구, (), 61-89

MLA

한수진(Su Jin HAN). "선시(禪詩)로 본 조선후기 승려의 삶과 술." 불교학연구, (2024): 61-8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