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습지보호지역의 지정에 따른 보상과 생태계서비스지불제 계약

이용수 6

영문명
Compensation for Designation of Wetlands Protection Area and Contract of Payment for Ecosystem Service
발행기관
경희법학연구소
저자명
전경운(Kyoung-Un Chun) 김선영(Seon-Yeong Kim)
간행물 정보
『경희법학』제59권 제1호, 352~385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법학 > 민법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3.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생물다양성의 보고인 동시에 오염물질 정화기능 등을 가진 습지를 효율적으로 보전·관리하고, 람사르 협약의 이행법률로서 1999년 습지보전법이 제정되었다. 습지보전법에 의한 습지보호지역의 지정과 행위제한은 습지보전이라는 공익목적의 달성을 위해서 불가피한 규제이지만, 우리나라 내륙습지의 상당 부분은 사유지이므로 토지소유자 등에게 소유권 행사의 제한이라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습지보전법은 습지조사로 인하여 손실을 입은 경우에 보상한다는 규정과 토지소유자 등의 매수청구권만을 인정하고 있다. 그러나 독일 연방자연보호법 제68조에비추어 보면, 우리나라 습지보전법도 습지보호지역의 지정으로 토지를 종래의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거나 소유자에게 토지이용 제한으로 재산상 손실이 발생한 경우에 보상청구를 인정하는 규정을 신설하는 것이 타당하다. 환경보전 정책의 효율성 제고나 경제적 행위자의 자발성에 기한 혁신촉진 등의 효과가 있는 경제적 유인정책의 도입의 확대가 필요하다. 2020년 시행 생물다양성법상 생태계서비스지불제 계약의 도입은 환경보전의 패러다임을 규제 중심에서 인센티브 방식으로 전환한다는 취지를 갖고 있다. 향후 생태계서비스지불제 계약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계약대상자, 계약대상지역, 대상사업유형, 계약기간 등에서 보완 내지 확대가 필요하다. 습지보호지역 내 사유지 소유자가 생태계서비스지불제 계약을 체결하여 습지의 조성 및 관리를 하고 보상을 받음으로써 토지소유권 등의 제한이라는 문제를 완화 내지 보완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사실상이 문제이며 근본적 법적 해결책은 아니므로, 습지보전법에 보상 등의 규정이 입법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습지보전법에 의한 습지보전 관리의 한계를 생물다양성법상 생태계서비스지불제 계약을 통하여 보완할 수 있으므로, 생태계서비스지불제 계약을 적극 활용할 필요성이 있다. 생태계서비스지불제 계약을 통하여 토지소유자 등의 협력과 적극적인 관리활동을 기반으로 습지를 효율적으로 보전하고 관리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Wetland Conservation Act was enacted in 1999 as an implementation law of the Ramsar Convention to efficiently conserve and manage wetlands that are a treasure trove of biodiversity and have the function of purifying pollutants. Designation of wetland protection areas and restrictions on activities under the Wetland Conservation Act are inevitable regulations to achieve the public interest purpose of wetland conservation, but since a significant portion of Korea's inland wetlands are private land, it creates the problem of restrictions on the exercise of ownership rights for land owners. The Wetlands Conservation Act only recognizes the provision of compensation for losses suffered due to wetland surveys and the right to claim purchase by land owners. However, it is appropriate for Korea's Wetland Conservation Act to also establish a new regulation that recognizes claims for compensation in cases where land cannot be used for its original purpose due to designation as a wetland protection area or when the owner incurs property loss due to restrictions on land use. There is a need to expand the introduction of economic incentive policies that have the effect of improving the efficiency of environmental conservation policies or promoting innovation based on the voluntariness of economic actors. The introduction of the contract of payment for ecosystem service under the Biodiversity Act, which took effect in 2020, has the purpose of shifting the paradigm of environmental conservation from regulation-centered to incentive-based. In order for the contract of payment for ecosystem service to be activated in the future, supplementation or expansion is necessary in terms of contract recipients, contract target area, target business type, and contract period. Private landowners within wetland protection areas can alleviate or supplement problems such as restrictions on land ownership by signing an contract of payment for ecosystem service to create and manage wetlands and receive compensation. However, since this is a factual problem and not a fundamental legal solution, provisions such as compensation should be enacted in the Wetland Conservation Act. In addition, wetland conservation and management can be strengthened through contract of payment for ecosystem service, so active use of this is necessary. Since the limitations of wetland conservation management under the Wetland Conservation Act can be supplemented through contract of payment for ecosystem services under the Biological Diversity Act, there is a need to actively utilize contract of payment for ecosystem service. The contract of payment for ecosystem service can efficiently conserve and manage wetlands based on cooperation and active management activities with land owners.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습지보전법상 습지보호지역의 지정과 행위제한 및 보상
Ⅲ. 생물다양성법상 생태계서비스지불제 계약
Ⅳ. 마치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전경운(Kyoung-Un Chun),김선영(Seon-Yeong Kim). (2024).습지보호지역의 지정에 따른 보상과 생태계서비스지불제 계약. 경희법학, 59 (1), 352-385

MLA

전경운(Kyoung-Un Chun),김선영(Seon-Yeong Kim). "습지보호지역의 지정에 따른 보상과 생태계서비스지불제 계약." 경희법학, 59.1(2024): 352-38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