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3D 프린팅 팬텀의 핵의학분야 적용 평가
이용수 0
- 영문명
- Evaluation of Nuclear Medicine Applications of 3D Printing Phantom: Gamma Camera Centrically
- 발행기관
- 대한핵의학기술학회
- 저자명
- 박훈희(Hoon-Hee Park) 이주영(Juyoung Lee) 김지현(Ji-Hyeon Kim)
- 간행물 정보
- 『핵의학기술』Vol.21 No.2, 65~73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방사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1.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Purpose 3D 프린팅 기술은 3D 스캔이나 모델링을 통하여 적측가공 방식으로 제작하는 기공기술로서 금형 없이 직접 생산이 가능하고 빠른 시간 내에 제작이 가능하여 최근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본격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3D 프린팅 기술은 의료분야에 있어, 영상의학 및 방사선 치료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지만 핵의학 분야에서는 관련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기존에 적용되고 있는 핵의학분야 팬텀과 3D 프린팅 기술로 제작된 팬텀의 특성을 비교하고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Materials and Methods 방사선 투과도 변화측정 국제기준 팬텀인 알루미늄(Aluminum) 계단 쐐기(step wedge)를 기준(140mm × 62mm× 35mm)으로 PMMA(Poly Methyl Meta Acrylate)와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재질로 각각 동일한 크기의 팬텀을 제작하였다. PMMA 팬텀은 핵의학 분야에서 주로 적용되는 팬텀의 성분과 동일한 소재로 제작하였고, ABS 팬텀 제작은 3D 프린팅 기술의 액체 기반형의 SLA(Stereo Lithography Apparatus)기법을 사용하여 제작하였다. 본 연구는 SPECT/CT장비 BrightView XCT(Philips Health Care, Cleveland, USA)를 이용하였다. 영상 획득은 Rectangular Flood phantom(Biodex, New York, USA) ⁹⁹ᵐTcO₄ 3, 6 mCi와 57Co lood phantom(adqual, New Hampshire, USA) 57Co 20 mCi를 이용하여 Aluminum, PMMA, ABS 팬텀에 대해 60min 리스트모드(List mode)로 획득하였다. 획득한 영상의 분석을 위해 관심영역(ROI)을 설정하여 각 팬텀의 단계별로 평가하였다. Results 방사선원의 종류 및 방사선량에 따라 ABS 팬텀의 계수치는 PMMA 팬텀의 계수치와 유사한 값을 나타내며, 두께의 증가에 따라 선형적으로 감소하였다. Aluminum, PMMA, ABS 팬텀의 선감약계수를 비교했을 때, Aluminum 팬텀의 선감약계수는 나머지 두 팬텀보다 수치가 높았고, PMMA, ABS 팬텀에서는 근사치의 선감약계수가 나타났다. Conclusion 3D 프린팅 기술로 제작된 ABS 팬텀을 기준으로 PMMA 팬텀은 두께가 증가함에 따른 계수치의 변화가 유사하게 선형적으로 감소하였고, 선감약계수도 근사치로 나타내었다. ABS 팬텀의 핵의학적 적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추후 연구를 통해 세부적인 교정치(correction value)를 적용한다면 활발한 적용이 가능하리라 사료된다.
영문 초록
목차
서론
대상 및 방법
결과
고찰
결론
요약
Reference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의료용 방사성폐기물 자체처분 가이드라인에 관한 고찰
- Collimator Detector Response(CDR) 회복이 적용된 SPECT/CT에서 검출거리에 따른 정량적 정확성 평가
- 3D 프린팅 팬텀의 핵의학분야 적용 평가
- 여성 핵의학 방사선종사자의 관련 피폭요인 분석
- Estradiol 검사 시 방사성 추적자의 희석시간에 대한 고찰
- 방사성 요오드 치료 후, 퇴원 선량 측정에 있어 각국의 기준 및 권고 비교
- Discovery NM 530c(D530c)에서 촬영한 심근관류 SPECT 환자의 움직임 감소활동을 위한 연구
- 뇌척수액에서 항 Glutamic acid decarboxylase 항체검사의 참고치 설정
- PET/CT 검사에서 Q.Clear 기법의 유용성에 대한 고찰
- Article PET/CT 감쇠보정시 다양한 CT Kernel 적용에 따른 유용성 평가
- 양성자 치료에서 영상 획득 시간에 따른 Off Line PET의 효율성 검증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BEST
- 민간의료보험 해약 의향 영향 요인: 한국 의료 패널 2019년 2기 자료를 이용하여
- 의료용 인공지능에 대한 동향 분석 및 방사선사 인식조사
- 임상에서 사용되는 온장고 온도설정 및 한계점에 대한 고찰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NEW
- RI 등 사용 허가 대학의 정기 검사 수검 사례: 방사선학과를 대상으로
- 핵의학 갑상샘 팬텀 영상에서 보간법이 초고분해능 ResNet 모델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방사성동위원소(RI) 폐기물 내 Pb-214, Bi-214 화학 분리를 통한 핵종분석 방법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