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뇌척수액에서 항 Glutamic acid decarboxylase 항체검사의 참고치 설정
이용수 0
- 영문명
- Evaluation of reference value of anti-Glutamic acid decarboxylase antibody for cerebrospinal fluid
- 발행기관
- 대한핵의학기술학회
- 저자명
- 박민호(Min-Ho Park) 신선영(Sun-Young Shin) 윤태석(Tae-Seok Youn) 신희정(Hi-Jung Shin) 노경운(Gyeong-Woon Noh)
- 간행물 정보
- 『핵의학기술』Vol.21 No.2, 28~30쪽, 전체 3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방사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1.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Anti-Glutamic acid decarboxylase antibody test (GAD Ab) has been used as a predictor of type 1 diabetes. GAD Ab has also been shown to be highly potent in cerebrospinal fluid (CSF) of patients with suspected diabetic peripheral neuropathy. Recently, it has been known that clinical significance of GAD Ab using CSF is useful for the neurological disorders. However, the reference value of anti-GAD Ab has been provided only for serum. In this experiment, we estimated the reference value of anti-GAD antibody for CSF in neurological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211 neurological patients were enrolled. Serum and CSF were analyzed by radioimmunoassay (RIA) using commercial RIA anti-GAD Ab kit (RSR, London, United Kingdom). Normal saline was used as the normal CSF control because CSF is most similar to 0.9% normal saline. Results The mean value of normal CSF control was 1.97 U/mL, and two standard deviations (2SD) was 1.44 U/mL. Based on this data, the expected reference range of CSF could be estimated from 0.54 U/mL to 3.40 U/mL Conclusion The reference range of normal CSF control using normal saline obtained with Hoffmann's method. However, there will be a need to validate the CSF reference values using human normal CSF.
목차
서론
대상 및 방법
결과
고찰 및 결론
요약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의료용 방사성폐기물 자체처분 가이드라인에 관한 고찰
- Collimator Detector Response(CDR) 회복이 적용된 SPECT/CT에서 검출거리에 따른 정량적 정확성 평가
- 3D 프린팅 팬텀의 핵의학분야 적용 평가
- 여성 핵의학 방사선종사자의 관련 피폭요인 분석
- Estradiol 검사 시 방사성 추적자의 희석시간에 대한 고찰
- 방사성 요오드 치료 후, 퇴원 선량 측정에 있어 각국의 기준 및 권고 비교
- Discovery NM 530c(D530c)에서 촬영한 심근관류 SPECT 환자의 움직임 감소활동을 위한 연구
- 뇌척수액에서 항 Glutamic acid decarboxylase 항체검사의 참고치 설정
- PET/CT 검사에서 Q.Clear 기법의 유용성에 대한 고찰
- Article PET/CT 감쇠보정시 다양한 CT Kernel 적용에 따른 유용성 평가
- 양성자 치료에서 영상 획득 시간에 따른 Off Line PET의 효율성 검증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BEST
- 민간의료보험 해약 의향 영향 요인: 한국 의료 패널 2019년 2기 자료를 이용하여
- 의료용 인공지능에 대한 동향 분석 및 방사선사 인식조사
- 임상에서 사용되는 온장고 온도설정 및 한계점에 대한 고찰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NEW
- RI 등 사용 허가 대학의 정기 검사 수검 사례: 방사선학과를 대상으로
- 핵의학 갑상샘 팬텀 영상에서 보간법이 초고분해능 ResNet 모델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방사성동위원소(RI) 폐기물 내 Pb-214, Bi-214 화학 분리를 통한 핵종분석 방법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