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방암의 감시림프절 검사에서 유방크기와 체질량지수에 따른 검사시간 변화
이용수 2
- 영문명
- The Variation of Scan Time According to Patientʼs Breast Size and Body Mass Index in Breast Sentinel lymphangiography
- 발행기관
- 대한핵의학기술학회
- 저자명
- 이다영(Da-Young Lee) 남궁혁(Hyuk Nam-Koong) 조석원(Seok-Won Cho) 오신현(Shin-Hyun Oh) 임한상 김재삼(Jae-Sam Kim) 이창호(Chang-Ho Lee) 박훈희(Hoon-Hee Park)
- 간행물 정보
- 『핵의학기술』Vol.16 No.2, 62~67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방사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0.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 At this time, the sentinel lymph node mapping using radioisotope and blue dye is preceded for breast cancer patient’s sentinel lymph node biopsy. But all patients were applied the same protocol without consideration of physical specific character like the breast sizes and body mass index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search the optimized scan time in breast sentinel lymphangiography by observing how much the body mass index and breast size influence speed of lymphatic flow. Materials and Methods :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100 breast cancer patients(Female, 100 persons, average age 50.34±10.26 years old)at Severance hospital from October 2011 to December 2011. They were scanned breast sentinel lymphangiography before operation. This study was performed on Forte dual heads gamma camera (Philips Medical Systems, Nederland B.V.). All patients were intra-dermal injected ⁹⁹ᵐTc-Phytate 18.5 MBq, 0.5 ml. For 80 patients, we have scanned without limitation of scan time until the lymphatic flow from the lymph node since injection. We measured how long the lymphatic flow time between departures from injects site and arrival to lymph node using stopwatch. After we calculated patient’s Body mass Index and classified as 4 groups. And we measured patient’s breast size and classified 3 groups. The modified breast lymphangiography that changing scan time according to comparison study’s result was performed on 20 patients and was estimated. Results : The mean scan time as breast size was A group 2.48 minutes, B group 7.69 minutes, C group 10.43 minutes. The mean scan time as body mass index was under weight 1.35 minutes, normal weight 2.56 minutes, slightly over 5.62 minutes, over weighted 5.62 minutes. The success rate of modified breast lymphangiography was 85%. Conclusion : As the Body mass index became higher and breast size became bigger, the total scan time is increased. Based on the obtained information, we designed modified breast lymphangiography protocol. At the cases applying that protocol, most of sentinel lymph nodes were visualized as lymphatic pool. In conclusion, we found that the more success rate in modified protocol considering physical individuality than study carrying out in the same protocol.
목차
서론
대상 및 방법
결과
고찰
결론
요약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PET/CT 검사 시 IRIS (Iterative Reconstruction in Image Space) 적용에 따른 CT 피폭선량 감소와 PET SUV 비교 연구
- 유방특이감마영상검사에서 액와부 영상 획득 방법에 대한 연구
- PET/CT에서 재구성 프로그램의 성능 평가
- 유방암의 감시림프절 검사에서 유방크기와 체질량지수에 따른 검사시간 변화
- 갑상선암 수술 전 진단목적의 ¹⁸F-FDG PET/CT Dual Time Point영상에서 SUV값과 방사능 농도 측정법의 유용성 평가
- 내독소 검사에서 자동합성장치에 따른 간섭요인 극복에 대한 연구
- PET/CT검사에서 Dose Modulation Technic 적용시 BMI에 따른 선량 감소율 분석
- PET/CT 검사에서 움직임에 의한 인공물의 산란제한보정법 적용 영상 평가
- ²⁰¹Tl 게이트 심근관류 SPECT 및 심초음파의 좌심실 구혈률 상관관계 비교
- ⁹⁹ᵐTc-HMPAO 표지효율에 대한 고찰
- 동결건조표준액의 안정성에 관한 보고
- Insulin 측정용 방사면역측정법 시약의 평가
- PET/CT에서의 고관절 삽입물에 의한 인공물과 Metal Artifact Reduction Algorithm의 유용성에 대한 고찰
- 방사성 요오드 치료환자의 환의 및 시트에 대한 재사용주기 평가
- 한국형 사이클로트론(KOTRON-13)을 이용한 [¹¹C]CO₂ 생산과 다양한 ¹¹C-표지 방사성의약품 생산 적용
- ¹⁸F-FDG PET 영상의 정량적 비교
- 병원종사자의 VDT증후군 자각증상과 건강영향에 관한 연구
- 방사성의약품 합성에서 발생하는 방사성기체의 효율적 차단
- IRMA 법 Curve에 관하여
- Vitamin B12/Folate 검사 시 빛의 영향에 대한 고찰
- 조영증강 18F-FDG PET/CT가 이중에너지 X-선 흡수 계측법을 이용한 골밀도 및 체성분 측정에 미치는 영향
- Lung Ventilation SPECT에서 LEAP Collimator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
- 전신 뼈 검사에서 ⁹⁹ᵐTc-DPD의 미만성 간 섭취
- PET/CT 검사에 있어서 MR Torso Coil의 CT 감쇄보정에 대한 영향 평가
- 경력에 따른 방사선방어 상관성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BEST
- 민간의료보험 해약 의향 영향 요인: 한국 의료 패널 2019년 2기 자료를 이용하여
- 방사선학과 학생 실습환경에 관한 연구: 실습실 내 미세먼지, 휘발성유기화합물 위해도를 중심으로
- 임상에서 사용되는 온장고 온도설정 및 한계점에 대한 고찰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NEW
- 추출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55Fe와 59/63Ni의 화학분리 중 목적원소 및 방해원소 거동 특성 연구
- 진단참고 준위를 적용한 선량 변화에 따른 영상 품질의 변화 평가
- 호주 방사선 의료 전문가 면허제도 및 교육과정 고찰: 진단방사선사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