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중비교 인과포레스트를 활용한 대학입학전형에 따른 대학생활 성과 분석
이용수 231
- 영문명
- Analysis of University Admission Types’ University Life Outcomes Using Multi-Arm Causal Forest
- 발행기관
- 한국교육평가학회
- 저자명
- 신중휘(Junghwi Shin) 박현정(Hyun-Jeong Park) 백수진(Sujin Baeg)
- 간행물 정보
- 『교육평가연구』제37권 제1호, 175~204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각 대학입학전형이 각 대학에서 성공적으로 학업을 수행할 수 있는 학생을 선발하는 기능을 얼마나 잘 수행하고 있는지 평가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이 연구는 한국교육종단연구 2013 조사 자료 8차년도(’20년)~9차년도(’21년) 자료(N=2,011)를 활용하여 대학입학전형(학생부 종합, 학생부 교과, 수능 위주)에 따른 대학생활 성과(소속감, 적응도, 대학 재선택 의향, 전공 재선택 의향, 평점 평균)를 분석하였다. 또, 개인 및 배경 특성 변인, 대학 및 전공 특성 변인에 따라 각 대입전형의 효과가 이질적일 수 있다고 가정하여, 조건부평균처치효과(CATE)를 추정하는 머신러닝 기법인 다중비교 인과포레스트(Athey, Tibshirani, & Wager, 2019)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학생부 종합전형을 통한 입학생이 평균처치효과의 관점에서 가장 우수한 대학생활 성과를 보이고 있었다. 또한, 부모소득 및 부모학력, (개인 및 대학평균)고교 학업성취 수준이 대학생활 성과에 대한 이질적 처치효과를 예측하는 주요한 조건화 변인임을 알 수 있는데, 학생부 종합전형의 효과보다는 수능 위주 전형의 학생부 교과 전형 대비 효과가 주요 조건화 변인의 값에 따라 달라지는 양상이 두드러졌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 결과 해석상의 주의점과 후속 연구 방향에 대해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Over the years, university admission types have primarily been the subject of social discussions on the dimension of fairness. However, considering the original purpose of university admissions system, it is also crucial to evaluate how well each type performs in selecting students who can successfully navigate academic life at each university. Accordingly,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university life outcomes (sense of belonging, adaptability, intention to reselect the university, intention to reselect the major, GPA) according to different university admissions types: the admission officer(AO) system, high school grade-focused(HSG) selection system, and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focused(CSAT) selection system, using the data from the Korea Education Longitudinal Study(KELS) 2013 collected in ’20~’21(N=2,011). Assuming the effects may vary according to the baseline characteristics, the study employs the Conditional Average Treatment Effects (CATE) perspective through the Multi-arm Causal Forest technique(Athey, Tibshirani, & Wager, 2019). The main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n average, students admitted through AO system exhibit superior outcomes across all considered aspects of college life, with a notable emphasis on higher intentions to reselect both the university and major. Second, it appears that parental income and education, high school academic achievement levels and their university-level average were significant conditioning variables predicting heterogeneous treatment effects on college life outcomes. Last, the effect heterogeneity of CSAT system, depending on the values of major conditioning variables, was more prominent compared to that of AO system. Based on these findings, suggestions for interpreting the research results and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provided.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분석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요약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생성형 AI 시대, 교육의 변화와 교육평가의 향방
- 다층 구조방정식 모형 평가를 위한 수준 특수적 평가 방법의 적용
- 다차원 IRT 모형 적합 혼합형 검사를 위한 공통문항 척도 연계 방법
- 고교학점제 관련 학교 요인이 핵심역량 분류에 미치는 영향
- 고교학점제를 고려한 학생부종합전형 평가 루브릭 개발 및 내용타당도 검증
- 혼합형 문항으로 구성된 단계적 적응검사에서 교차 라우팅 방법의 효과 탐색
- Using Level-Specific Fit Evaluation of Model Fit to Assess Multilevel Structural Equation Model
- 인과 포레스트를 활용한 대졸 청년층의 직무와 전공 일치가 첫 직장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분석
- LLTM모형과 LLTM-R모형을 이용한 Rasch 문항난이도 및 문항정답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 다중비교 인과포레스트를 활용한 대학입학전형에 따른 대학생활 성과 분석
- 베이지언 네트워크를 이용한 인지진단모형의 적용
- Scale Linking Under a Mixture of Multidimensional IRT Models for Mixed-Format Tests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