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교학점제 관련 학교 요인이 핵심역량 분류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02
- 영문명
- The influence of school factors on the classification of core competencies i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 focus on general-vocational high schools
- 발행기관
- 한국교육평가학회
- 저자명
- 신윤범(Yunbeom Shin) 원효헌(Hyoheon Won)
- 간행물 정보
- 『교육평가연구』제37권 제1호, 29~55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고교학점제의 전면 도입을 앞둔 시점에서 관련 학교 요인이 학생들의 핵심역량 분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일반고와 직업계고를 중심으로 살펴보았고, 주요 결과를 바탕으로 정리한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학생들의 핵심역량에 수준에 따른 잠재프로파일을 분류한 결과 일반고와 직업계고 모두에서 ‘핵심역량 최상위’, ‘핵심역량 상위’, ‘핵심역량 중위’의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고, 해당 프로파일별 4가지의 하위 역량들의 수준이 모두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교 요인이 핵심역량 프로파일 구분에 미치는 영향을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핵심역량 중위집단을 준거로 일반고와 직업계고 모두에서 상위 집단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이 관측된 변수는 ‘선택과목 진로 연관성’, ‘수업방식(상호작용)’, ‘학생의견 반영정도’, ‘읍면지역’ 4개 변수로 도출되었고, 두 집단 모두에서 영향력이 가장 높은 변수는 ‘수업방식(상호작용)’으로 도출되었다. ‘수업방식(개별화)’, ‘선택과목 미개설 경험 없음’, ‘중소도시’, ‘사립’ 변수의 경우 일반고에서만 집단 구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이 나타났고, ‘대도시’는 직업계고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회귀값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school factors on students’ categorisation of core competencies in general and vocational high schools, leading up to the full implement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e study’s conclusions are summarised based on the main findings. The results of the latent profile classification showed that both general and vocational upper secondary schools could b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of core competence profiles, namely ‘top core competence’, ‘upper core competence’ and ‘middle core competence’, and that the levels of the four sub-competences in each profile were similar.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variables that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for the top group in both general and vocational upper secondary schools based on the middle group of core competences were ‘relevance of elective courses to careers’, ‘teaching method (interaction)’, ‘degree of reflection of students’ opinions’ and ‘city and region’, and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in both groups was ‘teaching method (interaction)’. For the variables ‘teaching method (individualised)’, ‘no experience with optional courses’, ‘small and medium-sized town’ and ‘private school’, only general secondary school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group classification, while ‘large town’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regression value only for vocational school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생성형 AI 시대, 교육의 변화와 교육평가의 향방
- 다층 구조방정식 모형 평가를 위한 수준 특수적 평가 방법의 적용
- 다차원 IRT 모형 적합 혼합형 검사를 위한 공통문항 척도 연계 방법
- 고교학점제 관련 학교 요인이 핵심역량 분류에 미치는 영향
- 고교학점제를 고려한 학생부종합전형 평가 루브릭 개발 및 내용타당도 검증
- 혼합형 문항으로 구성된 단계적 적응검사에서 교차 라우팅 방법의 효과 탐색
- Using Level-Specific Fit Evaluation of Model Fit to Assess Multilevel Structural Equation Model
- 인과 포레스트를 활용한 대졸 청년층의 직무와 전공 일치가 첫 직장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분석
- LLTM모형과 LLTM-R모형을 이용한 Rasch 문항난이도 및 문항정답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 다중비교 인과포레스트를 활용한 대학입학전형에 따른 대학생활 성과 분석
- 베이지언 네트워크를 이용한 인지진단모형의 적용
- Scale Linking Under a Mixture of Multidimensional IRT Models for Mixed-Format Tests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