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몽골국 성립 전후 동유라시아의 직물(織物) 유통

이용수 5

영문명
Distribution of Textiles in East Eurasia before and after the Establishment of Yeke Mongγul Ulus
발행기관
한국몽골학회
저자명
김장구(Janggoo Kim)
간행물 정보
『몽골학』제76호, 89~120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2.28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東)유라시아의 북부, 즉 몽골고원에 사는 유목민들은 오종(五種)가축을 위주로 하는 유목(遊牧)을 생업으로 하는 한편 수렵(狩獵)과 어로(漁撈) 활동을 통해 부족한 경제력을 일부 보충하였다. 따라서 유목국가의 경제구조는 비교적 단순하였으며, 이 때문에 주변 오아시스 도시와 정주 농경지역과의 물품(物品) 교류에 적극적이었다. 이 글에서는 대몽골국 성립을 전후하여 약탈, 공납, 교환 등 다양한 방식으로 몽골고원에서 유통되었던 직물들을 모직물, 견직물, 면직물 등 소재에 따라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사료를 살펴보면, 대몽골국 성립 이전에 몽골고원에서 유통된 직물들은 거의 대부분이 모피류이다. 아울러 몇 가지 직물이 언급되는데, 예를 들면 진주[금실] 담요와 금박 물린 비단 등이다. 이 물품들은 동부 몽골고원의 타타르부에서 약탈한 것이지만, 아마도 그 전에 외부 정주지역[金]으로부터 유입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칭기스 칸은 대몽골국을 성립한 이후 외부 세계와의 교류를 통해 그 지역에서 생산되거나 유통되는 물품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고자 노력했다. 그 결과 다양한 물품과 재화들이 카라코룸을 중심으로 한 몽골고원에 유통되었다. 특히 중앙아시아 원정 이후에는 금단(金緞), 혼금단(渾金緞), 金絲織物, 잔다니치, 면포 등 값비싸고 화려한 직물들이 몽골고원으로 끊임없이 유입되었다. 결국, 칭기스 칸은 유목민들을 통합하고 주변 정주지역과의 교류를 통해 몽골고원의 유목민들이 필요한 물품을 안정적으로 구득할 수 있게 하였다. 이에 따라 장거리 무역 상인들은 대몽골국의 통치 하에 안전을 보장받고 경제적 이익을 얻기 위해 더욱 적극적으로 몽골고원으로 몰려들었다. 칭기스 칸의 뒤를 이은 우구데이 카안 시기에는 더욱 다양하고 많은 이방인들이 ‘역참(驛站, ǰamči)’망을 통해 대몽골국의 수도권인 카라코룸으로 몰려들었다.

영문 초록

Nomads living in the northern part of eastern Eurasia, that is, the Mongolian plateau, made up for some of their scarce economic power through hunting and fishing activities while making a living on nomadic mainly based on five animals. Therefore, the economic structure of nomadic state was relatively simple, and for this reason, they were active in exchanging goods between surrounding oasis cities and agricultural areas. In this article, before and after the establishment of Yeke Mongγul Ulus, textiles distributed in the Mongolian plateau classified according to materials such as wool, silk fabric, and cotton fabric in various ways such as looting, tribute, and exchange. Looking at the historical records, most of the textiles distributed in the Mongolian plateau before the establishment of Yeke Mongγul Ulus were fur. In addition, several fabrics are mentioned, such as pearl[golden thread] blankets and gold leafed silk. These items were looted from Tatar tribe in the eastern Mongolian plateau, but it is highly likely that they were introduced from the outside settlement area(Jin Dynasty) before then. After establishing Yeke Mongγul Ulus, Chinggis qan tried to stably secure goods produced or distributed in the region through exchanges with the outside world. As a result, various goods and commodities were distributed in the Mongolian plateau centered on Qaraqorum. In particular, after expedition in Central asia, inexpensive and colorful textiles such as golden silk(金緞), unrefined golden silk(渾金緞), golden thread textiles(金絲織物), Zandanīchī, and cotton constantly flowed into the Mongolian plateau. Eventually, Chinggis qan integrated nomads and enabled nomads in the Mongolian plateau to stably obtain necessary goods through exchanges with surrounding settlement areas. As a result, long-distance traders flocked to the Mongolian plateau more actively to ensure safety and gain economic benefits under the rule of Yeke Mongγul Ulus. During the Ögüdei qa’an(who succeeded Chinggis qan) period, more diverse foreigners flocked to Qaraqorum(the capital of Yeke Mongγul Ulus) through the postal system(驛站, ǰamči).

목차

1. 머리말
2. 대몽골국 성립 이전 북아시아의 직물 유통
3. 대몽골국 성립 이후 동유라시아의 직물 유통
4.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장구(Janggoo Kim). (2024).대몽골국 성립 전후 동유라시아의 직물(織物) 유통. 몽골학, (), 89-120

MLA

김장구(Janggoo Kim). "대몽골국 성립 전후 동유라시아의 직물(織物) 유통." 몽골학, (2024): 89-12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