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몽골과 중국 내몽골자치구의몽골어 생활단어 비교

이용수 21

영문명
A comparison of Mongolian basic words between Mongolia and China’s Inner Mongolia autonomous region: Focusing on the classical Mongolian language study publishedin China’s Inner Mongolia autonomous region
발행기관
한국몽골학회
저자명
한승연(Seungyeon Han) 김경나(Kyongna Kim)
간행물 정보
『몽골학』제76호, 9~42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2.28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몽골과 중국 내몽골자치구의 고전몽골어 학습서를 바탕으로 양 지역의 기초 어휘를 비교 분석하였다. 기초 학습서에는 그 사회의 기초어휘와 문화가 어떠한지를 파악할 수 있기에 이를 통해 몽골과 중국 내몽골자치구의 언어가 어떻게 이질화되었는지를 살펴볼 수 있었다. 2025년 1월 1일부터 ‘몽골어에 관한 법(Монгол хэлний тухай хууль)’ 이 시행됨에 따라 몽골 뿐만 아니라 한국에서의 몽골어학습과 연구에서도 고전몽골어의 교육 및 연구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져야 할 것이다. 이에 대한 기초 작업으로, 몽골과 지정학상으로 가까이 위치하는 중국 내몽골자치구에서 몽골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사용하는 기초 생활 단어에서 어떤 부분이 같고 다른지 논의하였다. 본문에서는 고전몽골어 기초학습서에 수록된 내용 중 기초어휘와 명사로 한정하여 요일, 시간, 날짜, 의복, 음식, 주거 및 장소, 교통수단, 직위 및 직업 등의 카테고리로 분류하여 몽골과 내몽골자치구에서 사용되는 어휘와 의미를 비교 분석하였다. 양 지역의 어휘 비교분석에서 두드러지는 큰 특징으로, 몽골은 러시아어 단어를 그대로 차용한 단어가 빈번하게 보이는 반면 중국 내몽골자치구에서는 중국어의 영향을 단어가 많다는 점이다. 특히 중국어에서 단어를 차용할 때 음차 뿐만 아니라 훈차를 한 경우도 찾아볼 수 있었다. 양 지역의 기초학습서를 분석한 본격적인 연구가 부재한 가운데 비교분석을 시작한 것에 작은 의의를 찾고자 하며, 향후 할하 방언과 차하르 방언 비교연구의 마중물이 되고자 한다. 아울러 본 논문이 전통몽골어 학습에 있어서도 양 지역의 어휘 이해의 디딤돌이 되고, 동시에 전통몽골어 학습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영문 초록

In this paper, the basic vocabulary of both regions was compared and analyzed based on the classical Mongolian language study books of Mongolia and China’s Inner Mongolia Autonomous Region. With the ‘Mongolian language ordinance’ in effect from January 1, 2025, the need for education and research of classical Mongolian language should increase in Mongolia and Korea. As a basic work for this, we discussed which parts are the same and different in the basic living words used by Mongolian-speaking people in China’s Inner Mongolia Autonomous Region, located geopolitically close to Mongolia. In the text, the vocabulary and meanings used in Mongolia and Inner Mongolia autonomous regions were compared and analyzed by classifying them such as the day of the week, time, date, clothing, food, housing and place, transportation, position, and occupation, limited to basic vocabulary and nouns among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classic Mongolian basic study book. A prominent feature of the vocabulary comparison analysis between the two regions is that Mongolia frequently borrows Russian words as they are, while China’s Inner Mongolia Autonomous Region has many words that influence Chinese. However, in the absence of a full-scale study of basic learning books in both regions, we intend to find little significance in starting a comparative analysis and serve as a priming point for future comparative studies of the Khalha and Tshahhar dialects. In addition, it is hoped that this paper will serve as a stepping stone to understanding vocabulary in both regions in learning traditional Mongolian languages and at the same time help learning them.

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승연(Seungyeon Han),김경나(Kyongna Kim). (2024).몽골과 중국 내몽골자치구의몽골어 생활단어 비교. 몽골학, (), 9-42

MLA

한승연(Seungyeon Han),김경나(Kyongna Kim). "몽골과 중국 내몽골자치구의몽골어 생활단어 비교." 몽골학, (2024): 9-4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