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원삼국·야요이시대 한·일 소형방제동경의 전개

이용수 14

영문명
The Development of the Korea-Japan Small-scale Imitation Bronze Mirrors in the Proto Three Kingdoms·Yayoi Period
발행기관
한국상고사학회
저자명
강찬(Chan Kang)
간행물 정보
『한국상고사학보』제123호, 77~116쪽, 전체 4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2.25
7,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원삼국·야요이시대 한국과 일본에서 조사된 소형방제동경은 그동안 출토 빈도와 분포 양상에 근거하여 특정 지역에서의 단방향적인 유입이 상정되었다. 그에 따라 최근 한국 출토품은 동경사 용 습속에 대한 배경과 목적의 부재로 인해, 일본에서 광형화된 무기형 청동기와 함께 입수된 것 으로 바라보는 관점이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야요이 사회상과 연대를 통한 접근 방법은 한국 측 자료를 망라한 균형적인 해석을 어렵게 한다. 특히 규슈에서 확인된 초기의 소형방제동경 거푸집 과일부문양의계보관계는한국측자료를추가하여유물을살펴볼때, 재고의여지가존재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원삼국·야요이시대 한국과 일본에서 발견된 소형방제동경에 대해 형식학에 기반한 분석을 시도하여 변천 양상을 밝히며, 당시 사회적 배경을 고려한 접근을 통해 물건의 확 산 구조와 그 의의를 규명하고자 한다. 소형방제동경은 크게 8개의 속성이 존재하며, 이들을 조합하여 총 6개의 형식을 도출할 수 있 다. 각 형식들은 한국과 일본에서 모두 확인되며, 전체적인 외형에 따른 변화 경향이 지역에 관계 없이 높은 상사성을 보인다. 다만 주문양대의 문양과 뉴좌형태, 물건의 사용 방식에서는 양자에서 상이성을 확인할 수 있다. 한국은 궐수문을 주요 문양으로 사용하면서 한경과 공반되는 사례가 일 반적이나, 일본에서는 연호문이 주류로서 한경과 구분되어 사용된다. 이와 함께 한국은 소형방제동경이 공유되는 과정에서 한경 혹은 복수의 소형방제동경을 부장한 사례 간 특정 위세품을 공유하며, 주변에서의 도용이 이루어지는 모습이다. 반면 일본에서는 한경을 소유하지 못한 집단들이 소형방제동경을 공유하면서 원경(原鏡)에 대한 도용과 방제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각 지역에서의 확산 양상은 동경을 부장하는 형태에 따라 상호 공유되지 않는 모습에서 배타성이 확인되나, 각지에서의 특정한 변화 경향과 동범경의 존재, 전체적인 외형의 유사성을 통 해 다원적인 교류가 이루어졌을 것으로 해석하였다.

영문 초록

The ‘Small-scale Imitation Bronze Mirrors(小形仿製銅鏡)’ surveyed in Korea and Japan during the Proto Three Kingdoms·Yayoi(弥生) period have been assumed to have a one-way inflow from a specific area based on the frequency and distribution pattern of excavations. However, due to the lack of background and purpose of the Bronze Mirrors usage custom, the view that Korean excavations were obtained in Japan along with the making larger bronze weapon is drawing attention. This Yayoi social image and solidarity approach makes it difficult to make a balanced interpretation of Korean data. In particular, there is room for reconsideration when looking at relics by adding Korean data to the genealog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early small-scale imitation bronze mirror mold and some patterns identified in Kyushu(九州). Accordingly,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the small-scale imitated bronze mirror found in Korea and Japan during the Proto Three Kingdoms Period based on formal studies to reveal the changes, and to clarify the diffusion structure and significance of objects through an approach considering the social background at that time. There are eight main properties of the small-scale imitated bronze mirror, and a total of six forms can be derived by combining them. Each type is confirmed in both Korea and Japan, and the tendency to change according to the overall appearance shows high similarity regardless of region. However, differences can be confirmed in the patterns of major position, the shape around the ring(鈕座文樣), and the method of using the object. In Korea, there are common cases in which it is accompanied by the chinese bronze mirrors(漢鏡), centered on the pattern of bracken designs(蕨手文) as a major use, but in Japan, the linked-arc designs(連弧文) is mainly used separately from the Chinese bronze mirror. At the same time, in the process of sharing small-scale imitated mirrors, Korea shares exclusive ‘Prestige goods(威勢品)’ between cases in which Chinese bronze mirror or multiple small-scale imitated bronze mirror are buried, and plagiarization(盜用) is taking place around them. On the other hand, in Japan, groups that do not own Chinese bronze mirror share a small-scale imitated bronze mirror, and theft and control of Chinese bronze mirror is carried out. These patterns of spread in each region are confirmed to be exclusive in a way that is not shared according to the form of burial of bronze mirror, but it was interpreted that multiple exchanges were made through particular change tendency in each region, the existence of the small-scale imitated bronze mirror which was made by same mold, and the similarity of the overall appearance.

목차

Ⅰ. 머리말
Ⅱ. 기초자료 분석
Ⅲ. 지역별 소형방제동경의 특징과 변화 양상
Ⅳ. 소형방제동경의 전개와 확산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찬(Chan Kang). (2024).원삼국·야요이시대 한·일 소형방제동경의 전개. 한국상고사학보, (), 77-116

MLA

강찬(Chan Kang). "원삼국·야요이시대 한·일 소형방제동경의 전개." 한국상고사학보, (2024): 77-11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