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찰음식의 매력속성이 소비자태도와 장기지향성,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70
- 영문명
- The Effect of Attractive Attributes of Temple Food on Consumer Attitude, Long-Term Orientation, and Word-of-Mouth Intention
- 발행기관
- 한국외식경영학회
- 저자명
- 하민채(Ha, Min-chae) 이규민(Lee, Gyu-min)
- 간행물 정보
- 『외식경영연구』27권 1호, 5~2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2.28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사찰음식의 매력속성, 소비자태도, 장기지향성 및 구전의도간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여 분석 결과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설문조사는 사찰음식 경험자로 20세 이상의 국내 거주하는 내국인 경험자를 대상으로 하여 온라인 전문 리서치 업체를 통해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설문지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데이터의 통계는 SPSS 25.0, Amos 25.0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검증결과, 사찰음식의 매력속성 중 친밀성과 외형적 매력성은 태도에 유의한 정(+)의 관계를 형성하고 있었고, 유사성은 태도에 유의하지 않는 정(+)의 영향 관계를 형성하고 있었다. 태도와 장기지향성과 구전의도는 유의한 정(+)의 관계를 형성하였고 장기지향성과 구전의도의 관계는 유의하지 않는 정(+)의 영향 관계를 형성하고 있었다. 사찰음식을 대중화하고 세계화하기 위해서는 소비자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사찰음식의 매력속성 중 친밀성과 외형적 매력성의 긍정적 역할을 확인하고 그에 따른 장기지향성과 구전의도에 영향을 재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이론연구를 기반으로 실증적 연구를 한 것은 긍정적이나. 설문조사의 불균형한 표본 구조로 일반화를 하는 데 많은 무리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것을 보완하여 추가적인 연구 조사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present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attractive attributes, consumer attitude, long-term orientation, and word-of-mouth intention of temple food and presented analysis results and implications. The statistics of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25.0 and Amos22.0 statistical packages.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intimacy, and external attractiveness among the attractive attributes of temple food formed a significant positive (+) relationship with attitude. Similarity formed an insignificant influence relationship on attitude. Attitude, long-term orientation, and word-of-mouth intention forme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long-term orientation and word-of-mouth intention formed an insignificant positive (+) influence relationship. In order to popularize and globalize temple food,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positive role of familiarity and external attractiveness among the attractive attributes of temple food that affect consumer attitude and to reaffirm the corresponding influence on long-term orientation and word-of-mouth intention. It is positive that empirical research was conducted based on theoretical research.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조사방법
Ⅳ. 실증분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커피 소비동기가 커피 소비의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GMO와 Non-GMO 라벨에 따른 소비자의 지각된 혜택이 신뢰 및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사찰음식의 매력속성이 소비자태도와 장기지향성,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 로스터리 커피전문점의 물리적 환경과 메뉴품질이 고객 만족 및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 외식기업 관리자의 감성리더십이 자기효능감과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 로봇 셰프 의인화와 심리적 파워가 소비자의 맛에 대한 판단에 미치는 영향
- 폐업 외식 소상공인의 창업실패두려움과 긍정심리자본이 재창업의지와 창업행동에 미치는 영향
- 베이커리 카페의 품질과 긍정적 감정, 고객만족, 재방문의도 간의 관계
- 외식경영연구 27권 1호 목차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