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생태체계적 관점에 따른 폐경 후 중년여성의 우울 영향요인
이용수 63
- 영문명
- Factors Associated with Depression among Middle-aged Postmenopausal Women: An Ecological System Perspectives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Sooyeon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Vol.19 No.12, 157~171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생태체계적 관점을 기반으로 폐경 후 중년 여성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제 16차 한국복지패널조사에 참여한 50-64세 폐경 후 여성 1,300명이다. 자료분석은 SPSS 23.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분석, 독립표본 t 검정, 상관관계 분석 및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우울의 영향하는 요인으로 주관적 건강수준(β=-.172, p<.001), 자아존중감(β=-.395, p<.001), 가족관계 만족도(β=-.104, p<.001)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나타났으며 우울에 영향하는 각 요인에 대한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36.4%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통해 우울에 영향하는 생태체계적 요인들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요인들은 향후 지역사회 보건의료인들이 폐경 후 중년여성의 우울을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한 다수준 중재 전략 개발을 위해 고려되어야하겠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based on an ecological system perspectives among postmenopausal middle-aged women. This study was the data of 1,300 middle-aged postmenopausal women aged 50-64 years from the 16th Korea Welfare Panel Study. Using the SPSS program,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As a result, subjective health status(β= -.172, p<.001), self-esteem(β = -.395, p<.001), and family relation satisfaction(β= -.104, p<.001)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in influencing depression, and the total explanatory power was 36.4%. These ecological systemic factors may help community health professionals develop multilevel strategies for preventing and managing depression in middle-aged postmenopausal wome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감사의 글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Vol.19 No.12 목차
- 딥러닝을 이용한 도심지침수 위기관리방안에 대한 연구
- 재난안전법에 있어서 국가핵심기반 제도 도입과정의 법적 고찰
- 생태체계적 관점에 따른 폐경 후 중년여성의 우울 영향요인
- Analysis of Social Indirect Impacts from Water Use in the Agricultural Sector Using Inter-Industry Analysis
- MIKE 모델을 이용한 미계측 소유역의 강우유출 및 침수분석
- 상수관망 관리를 위한 3D 공간정보 시스템 및 모델 프로토타입 개발
- 분노, 비판, 대립의 장이 되었던 트위터
- AHP 분석기법을 활용한 산지 태양광 발전시설 점검기준 개발
- COVID-19 신종감염병 위기 상황시 대학생의 사회적 고립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우울의 매개효과
- 국내외 사례 기반 다중이용시설 내 이상동기 범죄 대책 개선 연구
- 여고생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 태도가 수행 능력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KBLS 와 BLS에 대한 교육 효과 비교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교정복지연구 제87호 목차
- 수형자들의 특성불안과 상태불안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효과
- 사회적 낙인감이 6호 처분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긍정심리자본의 매개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