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nalysis of Social Indirect Impacts from Water Use in the Agricultural Sector Using Inter-Industry Analysis
이용수 62
- 영문명
-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한 농업분야의 용수 이용에 따른 사회간접영향 분석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Young Seok Song Jin Gul Joo Sang Dan Kim Moo Jong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Vol.19 No.12, 101~111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Only the direct impact of damage occurring in the agricultural sector is quantitatively calculated, and no analysis method for the indirect damage impact is provided. Therefore, in this study, the supply shortage
effect in the agricultural sector was analyzed using input-output analysis, a representative social indirect impact analysis method. The target year for the input-output table was 2015, when damage occurred in the agricultural sector. The agricultural sector selected the industrial sector of agricultural, forestry, and fisheries products and applied five mountain-language correlation analysis model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when the output amount increased by 1 won, the induced production effects for the entire industry were 0.65441 won, the value-added inducement effects were 0.23756 won, and the employment inducement effects were analyzed to be 1 billion won, with 3.29854 people potentially employed. The supply shortage effect is a decrease of 2.39342 won in the entire industry, and the price-inducing effect is analyzed to increase prices by 6.79571% in the entire industry when the price of output increases by 10%.
영문 초록
농업분야에서 발생하는 피해는 직접적인 영향만을 정량적으로 산정할 뿐 간접적인 피해영향의 분석방법은 제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사회간접영향 분석방법인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하여 농업분야의 농업용수 이용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산업연관표의 대상연도는 농업분야의 피해가 발생한 2015년을 선정하였다. 농업분야는 농림수산품의 산업분야를 선정하였으며 5가지의 산업연관분석 모형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산출액이 1원 만큼 증가하였을 때 전체 산업에 대한 생산유발효과는 0.65441원, 부가가치유발효과는 0.23756원이 취업유발효과는 10억원에 3.29854명의 취업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공급지장효과는 전체 산업에서 2.39342원의 감소가 발생하며 물가파 급효과는 산출물의 가격이 10% 상승하였을 때 전체 산업에서는 6.79571%의 물가가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Vol.19 No.12 목차
- 딥러닝을 이용한 도심지침수 위기관리방안에 대한 연구
- 재난안전법에 있어서 국가핵심기반 제도 도입과정의 법적 고찰
- 생태체계적 관점에 따른 폐경 후 중년여성의 우울 영향요인
- Analysis of Social Indirect Impacts from Water Use in the Agricultural Sector Using Inter-Industry Analysis
- MIKE 모델을 이용한 미계측 소유역의 강우유출 및 침수분석
- 상수관망 관리를 위한 3D 공간정보 시스템 및 모델 프로토타입 개발
- 분노, 비판, 대립의 장이 되었던 트위터
- AHP 분석기법을 활용한 산지 태양광 발전시설 점검기준 개발
- COVID-19 신종감염병 위기 상황시 대학생의 사회적 고립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우울의 매개효과
- 국내외 사례 기반 다중이용시설 내 이상동기 범죄 대책 개선 연구
- 여고생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 태도가 수행 능력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KBLS 와 BLS에 대한 교육 효과 비교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교정복지연구 제87호 목차
- 수형자들의 특성불안과 상태불안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효과
- 사회적 낙인감이 6호 처분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긍정심리자본의 매개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