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간호대학생의 KBLS 와 BLS에 대한 교육 효과 비교
이용수 47
- 영문명
- A Comparative Study of KBLS and BLS in Nursing Students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Myung In Lee Ju-Hee Lee Young Ju Jeong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Vol.19 No.12, 141~155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대한심폐소생협회(KACPR) 2020년 한국 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에 따른 기본소생술(KBLS) Provider 과정과 2020년 미국심장협회(AHA)의 가이드라인에 따른 기본소생술(BLS) Provider 과정에 대한 교육 효과를 비교함으로써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효율적인 심폐소생술 교육 프로그램을활성화하기 위한 근거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어진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 연구이다. 대상자는 KBLS를적용한 군 29명, BLS를 적용한 군 21명이었다. 연구결과, KBLS와 BLS 교육 전·후 심폐소생술 지식(F=10.30, p=.002).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심폐소생술 태도(t=0.71, p=.479), 심폐소생술 자기효능감(U=297.50, p=.890), 자동제세동기에 대한 태도(U=1258.50, p=.361)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교육 내용이 우리나라 보건의료 상황에 맞게 구성되어져 있을 뿐만 아니라 e-book, 협회비 등의가격 경쟁력이 높고 교육보고서 시스템 접근성의 편리함을 갖추고 있는 한국 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에따른 기본소생술(KBLS) Provider 과정을 간호대학생 심폐소생술 교육에 적용할 것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is i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before-and-after design study. It compares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nursing students' KBLS Provider and BLS Provider courses. The comparison is based on the KACPR 2020 guidelines and AHA 2020 guidelines, respectively. The study seeks to provide evidence to suggest an efficient CPR education program suitable for Korean conditions. We recruited 29 and 21 participants for the KBLS and BLS groups, respectively. The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PR knowledge before and after KBLS and BLS training (F=10.30, p=.002) but not in CPR attitude (t=0.71, p=.479), CPR self-efficacy (U=297.50, p=.890), and attitude toward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use (U=1258.50, p=.361).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KBLS Provider course, based on the KBLS guidelines, should be applied to nursing students' CPR education in Korea. This course is structured according to the Korean healthcare situation, offers competitive prices, including affordable e-books and association fees, and provides the convenience of accessing the education report system.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감사의 글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Vol.19 No.12 목차
- 딥러닝을 이용한 도심지침수 위기관리방안에 대한 연구
- 재난안전법에 있어서 국가핵심기반 제도 도입과정의 법적 고찰
- 생태체계적 관점에 따른 폐경 후 중년여성의 우울 영향요인
- Analysis of Social Indirect Impacts from Water Use in the Agricultural Sector Using Inter-Industry Analysis
- MIKE 모델을 이용한 미계측 소유역의 강우유출 및 침수분석
- 상수관망 관리를 위한 3D 공간정보 시스템 및 모델 프로토타입 개발
- 분노, 비판, 대립의 장이 되었던 트위터
- AHP 분석기법을 활용한 산지 태양광 발전시설 점검기준 개발
- COVID-19 신종감염병 위기 상황시 대학생의 사회적 고립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우울의 매개효과
- 국내외 사례 기반 다중이용시설 내 이상동기 범죄 대책 개선 연구
- 여고생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 태도가 수행 능력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KBLS 와 BLS에 대한 교육 효과 비교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교정복지연구 제87호 목차
- 수형자들의 특성불안과 상태불안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효과
- 사회적 낙인감이 6호 처분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긍정심리자본의 매개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