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분노, 비판, 대립의 장이 되었던 트위터
이용수 12
- 영문명
- Twitter As a Sphere for Anger, Criticism, and Political Confrontation: An Analysis of Tweets Regarding 10·29 Itaewon Disaster Using DMR Topic Model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Seungkyung Ham Ji-Myoung Choi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Vol.19 No.12, 59~75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10·29 이태원 참사와 관련된 트윗을 대량으로 수집하고 정제한 후 DMR 토픽모델링으로분석하였다. 모델 검증을 통해 가장 적절한 토픽의 수로 15개를 설정하였다. 총 15개 토픽을 클러스터링하여 정보 반응, 감정 반응, 정부 비판 반응. 정치적 대립 반응, 2차 피해 반응, 공감 반응 및기타 등 7개 그룹으로 묶을 수 있었다. 토픽의 분포를 시계열적으로도 살펴보았는데, ‘대책 미비’, ‘책임’, ‘애도와 추모’ 토픽의 비중은 시간이 지날수록 감소한 반면, ‘막말 논란’, ‘분노와 비난’은시간이 지날수록 증가하였다. 이와 함께 전체 기간을 3개의 시기로 나누어 토픽의 차이를 살펴본결과 시기별로 토픽 비중의 차이가 나타났는데 ‘애도기’와 비교해 볼 때 ‘수사기’와 ‘국정 조사기’에서는 ‘수사와 구속’, ‘진상 규명’ 토픽의 비중이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토픽의 구조와토픽의 시간별 변화에 따른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재난의 정치화와 공동체의 회복에 관점에서연구 결과의 함의를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involved the extensive collection and refinement of tweets related to the 10·29 Itaewon Tragedy, followed by analysis using DMR topic modeling. Through model validation, the optimal number of topics was determined to be 15, clustered into seven groups: informational, emotional, government criticism, political confrontation, secondary harm, empathetic responses, and miscellaneous. Examining the temporal distribution of topics revealed a decrease in the weight of topics such as 'Lack of government preparedness,' 'Accountability for the disaster,' and 'Condolences and memorials for victims' over time, while topics like 'Controversy over disrespect for victims' families' and 'Anger and Blame' increased. Further, dividing the overall period into three phases demonstrated variations in topic weights. Compared to the 'Mourning' phase, the 'Investigation' and 'Parliamentary Inquiry' phases indicated an increase in the weight of topics related to 'Investigation and detainment of those responsible' and 'Demand for the truth about the disaster.' The research concludes by discussing the implications for the politicization of disasters and community recovery.
목차
Ⅰ. 문제 제기
Ⅱ. 문헌 연구
Ⅲ. 방법론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Vol.19 No.12 목차
- 딥러닝을 이용한 도심지침수 위기관리방안에 대한 연구
- 재난안전법에 있어서 국가핵심기반 제도 도입과정의 법적 고찰
- 생태체계적 관점에 따른 폐경 후 중년여성의 우울 영향요인
- Analysis of Social Indirect Impacts from Water Use in the Agricultural Sector Using Inter-Industry Analysis
- MIKE 모델을 이용한 미계측 소유역의 강우유출 및 침수분석
- 상수관망 관리를 위한 3D 공간정보 시스템 및 모델 프로토타입 개발
- 분노, 비판, 대립의 장이 되었던 트위터
- AHP 분석기법을 활용한 산지 태양광 발전시설 점검기준 개발
- COVID-19 신종감염병 위기 상황시 대학생의 사회적 고립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우울의 매개효과
- 국내외 사례 기반 다중이용시설 내 이상동기 범죄 대책 개선 연구
- 여고생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 태도가 수행 능력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KBLS 와 BLS에 대한 교육 효과 비교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교정복지연구 제87호 목차
- 수형자들의 특성불안과 상태불안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효과
- 사회적 낙인감이 6호 처분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긍정심리자본의 매개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