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시대 정의현 읍치의 조성 과정과 공간구조

이용수 19

영문명
Construction Process and Spatial Structure of the Town of Jeongui-hyeon in the Joseon Dynasty
발행기관
제주학회
저자명
오상학(Oh, Sang-Hak)
간행물 정보
『제주도연구』제61권, 239~266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역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2.28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조선시대 정의현의 읍치는 최초 지금의 성산읍 고성리에 설치되었다가 1423년 현재의 성읍마을로 이설되었다. 읍성의 축조는 추운 겨울임에도 불구하고 5일만에 이루어진 역사(役事)였다. 서문, 동문, 남문의 3문 구조로 되어 있고 T자형의 가로망 형태를 띠고 있다. 북쪽에는 주로 관아 건물이 남쪽에는 민가가 들어서 있었다. 정의현 읍치의 입지를 결정하는 요인으로는 위치 요인, 용수 요인, 군사적 요인, 풍수지리적 요인 등을 들 수 있다. 이전 고성리의 읍치가 동쪽으로 너무 치우쳐 있어서 고을의 중앙부에 위치한 진사리로 옮기게 되었다. 또한 중산간 지역임에도 불구하고 용수가 비교적 풍부했다. 아울러 내륙에 위치해 있어서 해안보다 외적의 침입을 덜 받고 풍수상으로도 한라산의 기맥이 이어지는 명당에 위치하고 있다. 정의현은 고을의 읍격이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제주목처럼 다양한 관아 건물보다는 객사, 동헌을 비롯한 향청, 질청, 군사들이 근무하는 청사 등이 축조되었다. 객사와 동헌의 위치 변동은 거의 없었던 것 같고 다른 관청 건물의 위치 이동은 계속 이어졌던 것으로 보인다. 전체적으로 볼 때 관아 건물의 배치는 동서 가로망의 북쪽에 있었고 중앙에는 왕권을 상징하는 객사 건물이 들어서 있었다.

영문 초록

In the Joseon Dynasty, the center of Jeongui-hyeon was first established in Goseong-ri, Seongsan-eup, and then moved to the current Seongeup-ri in 1423. The construction of the citadel was carried out in five days despite the cold winter. It has a three-door structure: the west gate, the east gate, and the south gate, and has a T-shaped street network. The government office buildings were mainly located in the north, and a private houses were located in the south.,The factors that determine the location of town in Jeongui-hyeon include location factors, water factors, military factors, and geomantic factors. In addition, despite being a middle-mountainous region, the water was relatively abundant. In addition, since it is located inland, it is less invasive than the coast, and it is located in a propitious site where Hallasan Mountain's veins continue even from geomantic principles. Since Jeongui-hyeon has a relatively low status as a town, there are no various government buildings like Jejumok, and only the government buildings, for example, gaeksa, dongheon, hyangcheong, jilcheong, and military offices were built. There seems to have been little change in the location of gaeksa and donghan, and the location of other government buildings seems to have continued to fluctuate. Overall, the layout of the building was located on the north side of the east-west street network, and in the center was gaeksa symbolizing the kingship.

목차

Ⅰ. 머리말
Ⅱ. 정의현 읍치의 조성 과정
Ⅲ. 정의현 읍치의 입지 요인
Ⅳ. 정의현 읍치의 공간 구조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상학(Oh, Sang-Hak). (2024).조선시대 정의현 읍치의 조성 과정과 공간구조. 제주도연구, (), 239-266

MLA

오상학(Oh, Sang-Hak). "조선시대 정의현 읍치의 조성 과정과 공간구조." 제주도연구, (2024): 239-26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