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제주 거주 몽골 이주 배경 부모의 이중언어교육 경험 연구
이용수 152
- 영문명
- A Study on the Bilingual Education Experience of Mongolian Immigrant Parents Living in Jeju
- 발행기관
- 제주학회
- 저자명
- 난딩토야(B. Nandintuya) 신효주(Shin, Hyo-Joo) 문현식(Moon, Hyeon-Sik) 김민호(Kim, Min-Ho)
- 간행물 정보
- 『제주도연구』제61권, 25~49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2.28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한국의 이중언어교육 정책이 국제결혼가정에 한정된 것을 문제 삼아, 국제결혼가정뿐만 아니라 외국인 노동자 및 유학생 부모가 자녀 대상 이중언어교육을 어떻게 하고 있고, 어떤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중언어교육에 어떤 의미를 부여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제주 거주 몽골 이주 배경 네 가정의 부모를 면담했고, 4개의 주제와 9개의 하위 주제를 도출하였다. 첫째, 가정의 유형, 자녀의 출생지역 등에 따라 ‘한국어가 편한 가정’, ‘한국어와 몽골어를 섞어 말하는 가정’, ‘한국어와 몽골어 둘 다 좋지 않은 가정’ 등이 존재했다. 둘째, 이주 배경 부모는 ‘다문화, 이중언어라는 말만 들어도 싫은’ 부모와 ‘몽골어와 몽골 문화를 제대로 배워야 한다’는 부모로 구별되었다. 셋째, ‘제주에는 몽골어 교육기관이 없고’와 ‘부모 모두 몽골인 가족은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없다’는 것이 이중언어교육의 어려움으로 제시되었다. 넷째, 이중언어교육의 의미는 ‘필요할 때 필요한 언어를 배우면 된다’는 입장과 ‘당연히 배워야 한다’는 입장으로 구별되었다. 곧 이중언어교육 환경의 다양성, 이중언어교육 태도의 대조성, 이중언어 학습자원의 제한성, 이중언어교육 의미의 상충성을 확인하였다. 장차 몽골 이주 배경 자녀가 제주에서 이중언어교육을 성공적으로 이수하려면 부모교육과 함께 지역사회 및 정부가 다문화주의 관점에서 이중언어교육 기회를 더욱 확대하고, 정주민과 이주민은 상호문화주의 관점에서 대등하게 교류하고 소통하는 태도를 함양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ought to examine the problem that Korea's bilingual education policy is limited to international marriage families. We investigated how international marriage families, as well as parents of foreign workers and international students, provide bilingual education to their children, what difficulties they face, and what meaning they give to bilingual education. For this purpos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parents of four families with Mongolian immigrant background living in Jeju, and a total of four themes and nine subthemes were derived. We confirmed the diversity of bilingual education environments, the contrast in attitudes toward bilingual education, the limitations of bilingual learning resources, and the conflicting meanings of bilingual education. Through this, we confirmed that children with a Mongolian immigrant background can successfully complete bilingual education in Jeju. In addition to parent education, the community and government should further expand bilingual education opportunities from the perspective of multiculturalism, and residents and immigrants should cultivate an attitude of equal exchange and communi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culturalism.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제주도연구 제61권 목차
- 제주 중화요리점의 형성과 변천
- 방문객 리뷰의 감성분석을 활용한 생태관광지 이미지 연구
- 난민으로 본 제주 섬의 사회경제 변화
- 제주식재료를 이용한 돼지 불고기 양념소스개발 중요도 요인이 제품만족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제주도 나비의 고도별 분포와 군집에 관한 연구
- LDA 토픽모델링 기반 제주지역 관련 연구동향 분석
- 조선시대 정의현 읍치의 조성 과정과 공간구조
- 제주 거주 몽골 이주 배경 부모의 이중언어교육 경험 연구
- 코로나 시기 근로 형태의 변화가 제주 여성 노동자의 일-가정 양립에 미치는 영향
- 金宗直 「乇羅歌」의 전승과 그 의미
- 한국과 미국간의 총허용어획량 제도 비교 분석
- 제주도 당신앙 속 여산신(女山神)의 흔적과 변주
- 정의고을 「鼎沼岩 花煎놀이」의 가치와 전승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