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축제체험이 대학생의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66

영문명
The impact of Festival Experiences on College Students' Depression: Focusing on the Chuncheon Mime Festival
발행기관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저자명
김남희(Namhee Kim)
간행물 정보
『글로벌문화콘텐츠』제58호, 25~57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2.29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오늘날의 사회는 능력중심의 치열한 경쟁과 물질만능주의, 외모지상주의로 인해 다른 사람과 비교하며 과도한 스트레스를 받으며 살아가는 외롭고 우울한 현대인들이 넘쳐나는 사회라 할 수 있을 것이다. OECD 국가 중 14년 연속 자살률 1위라는 불명예를 안고 있는 한국 사회에서 최근 4년간 우울증으로 치료받은 20대의 숫자가 127.9%나 상승하여 모든 연령대비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한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20대의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대학생의 우울에 주목하여 축제와 우울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즉, 축제체험이 대학생의 우울감을 감소시키는 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여 이의 관계를 분석한 실증적 연구를 목표로 한다. 연구결과 축제에 참여한 집단이 축제 미참여 집단 대비 축제참여 전 우울과 축제참여 후 우울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축제체험 후에 우울 값이 축제체험 전의 우울 값보다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축제체험 요인의 변수 중에서 일탈성 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종속변수인 축제 후 우울 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축제체험 요인 중 일탈성 요인이 증가할수록 축제 후 우울변인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금까지 우울증의 심리치료 수단으로 음악, 미술, 영화, 연극, 무용 등의 문화예술과 스포츠를 통한 우울의 감소 효과에 대해서는 많은 선행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우울 증상에 대한 축제의 심리학적 효과에 대해 접근한 국내 연구가 전무한 실정에서 축제체험이 우울감 감소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본 연구결과는 축제치료에 대한 가능성을 제기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우울감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축제의 일탈적 속성은 축제치료 프로그램개발에 있어서 중요한 준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요컨대, 본 연구결과가 축제의 심리적 기제 자체를 이해하고 심화 연구되어 향후 축제심리학과 축제치료에 대한 개념과 이론을 구축하는 단초로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Considering today's society can be said to be a society filled with lonely and depressed modern people who compare themselves to others and live under excessive stress due to fierce competition centered on ability, materialism, and lookism. It is worth noting that in Korean society, which has suffered the disgrace of having the highest suicide rate among the OECD countries for 14 consecutive years, the number of people in their 20s treated for depression has increased by 127.9% over the past four years, the largest increase among all age groups. Accordingly, this study focused on depression among college students, who account for the largest proportion of people in their 20s, and attempt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festivals and depression. In other words, the goal is to conduct an empirical study that analyzes the relationship by establishing the hypothesis that festival experiences will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reducing depression in college stud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depressions before and after participating in the festival in the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festival, compared to the group that did not participate in the festival. In other words, the depression value after the festival experience appeared to decrease compared to the depression value before the festival experience. In addition, among the variables of the festival experience factors, the deviance factor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the dependent variable, the post-festival depression variable. In other words, as the deviance factor among the festival experience factors increased, the post-festival depressive variable decreased. So far, many prev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effect of reducing depression through sports and cultural arts such as music, art, films, plays, and dance as a means of psychological treatment for depression. However, given the lack of domestic research on the psychological effects of festivals on depressive symptom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ing that festival experience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reducing depression are expected to raise the possibility of a festival therapy. Additionally, the deviant nature of festivals that affects the reduction of depression can be used as an important criterion in developing festival treatment programs. In short,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starting point for understanding and in-depth research on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of festivals themselves and for building concepts and theories about festival psychology and a festival therapy in the future.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축제체험속성과 대학생의 우울감 측정에 관한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남희(Namhee Kim). (2024).축제체험이 대학생의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글로벌문화콘텐츠, (), 25-57

MLA

김남희(Namhee Kim). "축제체험이 대학생의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글로벌문화콘텐츠, (2024): 25-5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