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Power Transition or Peaking Power Trap? Explaining Hegemonic Competition

이용수 35

영문명
Power Transition or Peaking Power Trap? Explaining Hegemonic Competition
발행기관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저자명
조해지(Haeji Joh)(趙海志) 김우상(Woosang Kim)(金宇祥)
간행물 정보
『신아세아』第30卷 第4號, 44~59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2.31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미-중 패권경쟁을 설명하는 가장 오래된 국제정치이론인 세력전이이론과 최근 미국과 중국의 충돌 가능성이 급증하고 있음을 경고한 절정기 국력 함정 이론의 주장을 비교 분석한다. 오르갠스키(1958)의 세력전이이론은 급성장하는 도전국과 상대적으로 주춤하는 패권국간의 국력 동등성 및 도전국의 현재 국제질서에 대한 불만족도가 세력전이전쟁을 설명하는 가장 중요한 변수라고 지적한다. 이에 반해, 브랜즈-베클리(2022)는 급성장하여 국력이 절정기에 도달한 불만족한 도전국이 더 이상 국력 성장을 지탱할 수 없고 국력의 하강 국면을 직감하기 시작할 때, 그리고 패권국이 동맹세력을 강화해서 도전국에 대한 봉쇄정책을 추진하기 시작하는 것을 감지할 때, 도전국은 더 늦기 전에 세력전이 전쟁을 일으킬 가능성이 아주 높다고 주장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주장들을 경험적으로 분석한다. 그 결과, 세력전이가 일어난 상황이나 절정기 국력에 도달하는 상황인 양국간의 국력이 거의 동등한 시기에 전쟁이 일어날 가능성이 가장 높다는 가설이 경험적으로 검증됨을 보여준다. 또한 도전국의 불만족 정도가 높을수록 전쟁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음을 경험적으로 검증한다. 이러한 결과는 세력전이이론의 주장을 지지한다. 비록 브렌즈-베클리의 주요 변수인 경제 침체, 전략적 봉쇄 변수는 경험적으로 검증되지는 않았지만 절정기 국력에 다다랐을 때의 상황인 국력 동등성 측면에서는 세력전이이론과 마찬가지로 절정기 국력 함정 주장도 설득력을 확보한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we focus on the oldest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y that correctly predicts the current China-US hegemonic competition and the newest theory that suggests an imminent collision between the two superpowers. We theoretically compare Organski’s (1958) power transition theory with Brands and Beckley’s (2022) peaking power trap theory and try to empirically test key arguments of each. Power transition theory suggests that the key independent variables that explain the great power war are the power parity between the rising challenger and the declining dominant power, and the rising challenger’s level of dissatisfaction with the existing international order. The peaking power trap theory argues that when a rapidly rising great power, which tries to catch up with the dominant power, anticipates its near-future economic stagnation, and when the dominant power tries to build and strengthen its alliance system against the challenger, the rising power is more likely to challenge the dominant power. Results of our study indicate that power transition war is very likely when the capability of the rising challenger becomes more or less equal to that of the dominant state and that war is highly likely when the rising state is dissatisfied with the status quo. These findings strongly support power transition theoretic arguments. However, they do not totally reject peaking power trap arguments since the peaking power situation occurs when the two states are more or less equal in national capabilities. Our study demonstrates that it is not the overtaking of power or peaking power but the power parity that matters most in explaining the likelihood of a power transition war.

목차

Ⅰ. Introduction
Ⅱ. Power transition vs peaking power trap
Ⅲ. Data and Measurement of Variables
Ⅳ. Data Analysis and Results
Ⅴ.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해지(Haeji Joh)(趙海志),김우상(Woosang Kim)(金宇祥). (2023).Power Transition or Peaking Power Trap? Explaining Hegemonic Competition. 신아세아, 30 (4), 44-59

MLA

조해지(Haeji Joh)(趙海志),김우상(Woosang Kim)(金宇祥). "Power Transition or Peaking Power Trap? Explaining Hegemonic Competition." 신아세아, 30.4(2023): 44-5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