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회귀나무 분석을 이용한 외국인비율, 집단위협인식, 집합효율성 관계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이용수 24
- 영문명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atio of foreigners, group threat perception, and collective efficiency using Regression Tree analysis: Focusing on the integrated explanation of the Social Integration Model and Group Threat Theory
- 발행기관
- 한국셉테드학회
- 저자명
- 박준호(Junho Park) 황의갑(Euigab Hwang)
- 간행물 정보
- 『한국셉테드학회지』제14권 제3호, 7~3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법학 > 민법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사회통합모델-집단위협이론의 통합론적 가설을 경험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외국인 밀집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내국인들을 대상으로 거주지역의 외국인비율과 내국인들의 집단위협인식 및 집합효율성 인식이 어떠한관계로 작용하는지를 회귀나무 분석을 통해 탐색적 수준에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국민안전 보장을 위한 형사정책의 실효성 제고방안 연구(IV) : 외국인 밀집지역의 안전현황과 정책과제” 2차 데이터상 내국인 주민 800명의 케이스를 활용하였다. 주요분석결과, 그동안 서구사회를 중심으로 논의되어왔던 사회통합 모델-집단위협이론의 통합론적 가설을 어느 정도 지지하는 결과가 도출되었으나, 집합효율성 인식을 예측함에 있어서 집단위협인식 요인은 외국인비율이 50%가 넘는 다인종·다민족 지역사회에서만 유의미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출된 결과를 통해 민족적 다양성 심화에 따른 반다문화 정서 확산 억제 정책의 필요성을 제언하였으며, 끝으로 연구의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In order to empirically verify the integrative hypothesis of the Social Integration Model-Group Threat Theory,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portion of foreigners in residential areas and Koreans' perception of group threat and collective efficiency. This analysis is conducted at the exploratory level using regression tree analysis. The case of 800 Korean residents was utilized as secondary data in the “Research on Measures for Strengthening the Efficacy of Criminal Policy for Guaranteeing Public Safety (IV): A Study on the Safety Condition and Policy Issues in Foreign Population Concentrated Areas” conducted by the Korean Institute of Criminology and Justice. As a result of the main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integrated hypothesis of the Social Integration Model-Group Threat Theory, which has been discussed in Western society, was partially supported. However, the factor of perceived group threat had a significant effect only in multi-ethnic communities with more than 50% of foreigners in predicting collective efficiency. Through the derived results, the study suggests the necessity of implementing a control policy to mitigate the spread of anti-multicultural emotions resulting from the increasing ethnic diversity. Finally, the study also presents its limitation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민법분야 NEW
- 음악저작물 사용료 결정 방법에 관한 연구
- 계간 저작권 149호(38권 1호) 목차
- 인공지능(AI)이 합성한 실연 보호에 관한 연구 - 퍼블리시티권(미국)과 실연자 권리(한국) 보호 방식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