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그림책 정서 표현 놀이를 통한 발달지체유아의 또래 상호작용 연구
이용수 30
- 영문명
- A Study on Peer Interaction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Through Picture Book Emotional Expression Play
- 발행기관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 저자명
- 신용현(Yong Hyun Shin) 김건희(Keon Hee Kim)
- 간행물 정보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67권 제1호, 137~15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1.2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들의 흥미와 관심을 반영한 그림책 정서 표현 놀이를 통해 발달지체유아의 정서표현과 또래 상호작용을 탐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세 명의 발달지체유아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그림책 정서 표현 놀이를 진행하였으며, 또래와의놀이를 하는 동안 수집한 관찰기록지 그리고 관찰 후 교사와의 협의자료를 코딩하고 범주화하는 과정을 거쳐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정서 표현 놀이 후 발달지체유아들은 그림책에서 나타났던 다양한 정서 표현 단어들을 사용해서 놀이 활동에 참여하였다. 유치원에서뿐만 아니라 평소 일상생활 속에서도 다양한 정서 표현을 하는 모습이자주 나타났다. 둘째, 정서 표현 놀이 후 또래에게 자신의 정서를 표현하거나 조절하면서 놀이에 참여하는 모습들이 자주 보였다. 또한 통합학급 또래 유아들과 함께 놀이를 만들어 가는 모습들도 나타났다.
결론: 정서 표현 놀이 활동을 통해 발달지체유아들은 또래들과 다양한 놀이활동에 참여하는 모습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발달지체유아가 흥미를 보이는 그림책을 통해 다양한 정서를 인식하고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통합학급에서 또래와의 다양한 놀이 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방안들이 모색되어야 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utilize an emotional expression play program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to examine how they affect peer interactions.
Method: Thre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and participated in the developed picture book emotional expression play. The observation data collected while playing with peers and the discussion data with teachers after the observations were analyzed through a process of coding and categorization.
Results: First, after playing with emotional expressions,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participated in play activities using various emotional expression words that appeared in picture books. They were often seen expressing a variety of emotions not only in kindergarten but also in daily life. Second, after playing emotional expression play, children were often seen expressing their emotions to their peers or participating in the play while controlling their emotions. In addition, there were instances of children initiating plays with their peers in inclusive classes.
Conclusion: Through emotional expression play activities,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participated in various play activities with their peers. Therefore, ways should be sought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ly delayed to recognize and express various emotions through picture books so that they can participate in various play activities with their peers in inclusive class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지체장애아동 교육의 연구동향 고찰
- 지체장애인 근로자의 행복과 행복성장이 직무만족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특수학교 교사의 긍정심리자본과 교수몰입의 관계
- 초임 중등특수교사가 인식한 진로·직업교육의 어려움과 지원방안
- 중도중복장애학생 담당 특수교사의 소진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탐색
- 학교 내 의료적 지원에 대한 어려움과 개선 과제
- 장애 영유아를 위한 예비교사의 AI활용역량척도
- 그림책 정서 표현 놀이를 통한 발달지체유아의 또래 상호작용 연구
- 중도중복장애학생 통합교육 인식에 대한 질적메타요약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제67권 제1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다문화교육과 역사교육의 만남: 한국 고등학생들의 이슬람 이해와 역사 지식의 활용
- 이주배경 학생을 위한 IBDP의 가능성과 한계: 미국 워싱턴주 시애틀 공립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중등 교사의 다문화 교육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