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애 영유아를 위한 예비교사의 AI활용역량척도
이용수 42
- 영문명
- AI Utilization Competency Scale for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 저자명
- 최지혜(Jihye Choi)
- 간행물 정보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67권 제1호, 81~93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1.2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이 연구는 장애 영유아를 위한 예비교사 대상 AI활용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자 하는것이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선행연구 검토와 관련 전문가 5인의 내용타당도 확인을 통해 AI활용 역량에 대해 조작적정의를 하고 하위요인과 문항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 예비조사와 본조사를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그 결과, AI활용역량척도는 4개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었는데, AI활용소양, AI활용계획, AI활용실행, AI활용평가가 그것이다. 척도의 총 문항수는 18문항이며, 각 요인별 신뢰도와 타당도는 모두 적합한 수준으로나타났다. 요인 간 상관분석 결과에서도 하위요인이 서로 적절히 관련됨과 동시에 구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에서 개발된 장애 영유아를 위한 예비교사 대상 AI활용역량 척도가 예비교사교육과 연수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scale that measures AI utilization competency for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Method: After reviewing previous research and review by five related experts, we developed an operational definition of AI utilization competency and developed sub-factors and questions. A preliminary survey and a main survey were conducted to confirm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developed tool.
Results: As a result, the AI utilization competency scale for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consisted of four sub-factors, including AI utilization literacy, AI utilization plan, AI utilization execution, and AI utilization evaluation. The total number of questions on the scale was 18, an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each factor were all found to be at an appropriate level.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factors showed that the sub-factors were appropriately related to each other and were distinguished at the same time.
Conclusion: The AI utilization competency scale for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with students with disabilities developed in this study could be used as preliminary data for AI education and training for teacher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지체장애아동 교육의 연구동향 고찰
- 지체장애인 근로자의 행복과 행복성장이 직무만족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특수학교 교사의 긍정심리자본과 교수몰입의 관계
- 초임 중등특수교사가 인식한 진로·직업교육의 어려움과 지원방안
- 중도중복장애학생 담당 특수교사의 소진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탐색
- 학교 내 의료적 지원에 대한 어려움과 개선 과제
- 장애 영유아를 위한 예비교사의 AI활용역량척도
- 그림책 정서 표현 놀이를 통한 발달지체유아의 또래 상호작용 연구
- 중도중복장애학생 통합교육 인식에 대한 질적메타요약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제67권 제1호 목차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