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구경하는 아이’ 다르게 보기

이용수 89

영문명
Different Perspectives on ‘Young Children’s Onlooking’: Going Beyond Developmental Stages of Social Play
발행기관
한국영유아교육과정학회
저자명
김문정(Moon-Jeong Kim) 이진희(Jin-Hee Lee)
간행물 정보
『영유아교육과정연구』제14권 제1호, 93~112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1.31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우리의 시야를 좁히거나 가리는 사회적 놀이 발달단계라는 이론적 틀에서 벗어나, 다양한 이론들과 접속하면서 구경하는 아이를 다르게 이해하고자 하였다. 놀이 관찰기록을 다시 보는 과정에서 사진들의 가장자리에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분홍빛 곰돌이문양 양말과 우연히 마주치면서, 연구로 들어서게 하는 입구가 열렸다. 연구자들은 과거의 놀이관찰 기록물(일지, 사진, 동영상), 새로운 참여관찰 기록, 교사와의 대화, 연구자들의 데이터~이론과 함께 사유하기, 함께하는 감응적 글쓰기 등을 통하여 데이터를 생성하였다. 구경하면서 하나의 놀이 주변에 오래 머무르기도 하고 공존하는 놀이들 사이를 오가며 때로는 감응을 일으키는 놀이 속으로 뛰어 들어가기를 자유로이 선택하는 모습에서 구경하는 아이의 행위성을 발견하는 동시에 구경 자체가 즐거운 놀이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구경은 놀이 틀을 이해하고 적절히 참여할 순간을 발견하는 유능한 놀이참여 전략의 하나였으며, 또래 간 갈등 상황이나 도움이 필요한 순간에도 의미 있게 작동하였다. 물질적-담론적 배치 속에서 구경~놀이~배움의 물결이 끊임없이 창발하고 중첩하고 회절하고 내부-작용하면서 아이들과 교사, 물질, 시공간이 얽혀가는 관계성을 목격할 수 있었다. 구경하는 아이의 이미지를 다르게 그려냄으로써 표준화된 보편적 발단단계라는 기준에 맞추어 결핍된 존재로 위치시키고 주변인으로 만들어 버리는 성인들의 시선을 바꿀 수 있기를, 나아가 얽힌 관계 속에서 감응을 주고받으며 자신들이 살아가는 세계에 차이를 생성해내는 영유아의 행위성을 새롭게 바라볼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ttempts at understanding young children’s onlooking behaviors from different perspectives by making connections to and diffracting through theories and concepts, while moving away from stage theories of children’s social play development which are often narrowing and blinding our vision. An entry to this study emerged as we unexpectedly encountered with pink teddy-bear socks which were appearing in the edges of several photos in the process of re-viewing play observation records. We generated data from the past play observation records (journals, photos, video clips), new participant observation records, dialogues with the teacher, researchers’ thinking-with-data~theory and joint affective writings. Through the data of onlooking children who freely chose to enjoy watching over a play for an extended period of time, move around co-existing plays, or jump into an affect-laden play, we learned about their agency and the value of onlooking behaviors as a joyful play itself. Moreover, their onlooking was one of competent play participation strategies to understand ongoing play frameworks and find the right moment to get involved, and also functioned well in those moments to help peers in conflicts or in need. Entanglements of children, teacher, materials, and space-times were witnessed in our data, as the waves of onlooking~playing~learning constantly emerge, overlap, diffract, intra-act in their material-discursive arrangements. We hope that re-configurations of onlooking children may disturb and unsettle adults’ perspectives on young children as not-yet, immature, lacking subjects based on the standardized, universalized developmental stages and, furthermore, help us to reconsider young children’s agency to affect and be affected in the entangled relationality, and generate differences in the world they live.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구경하는 아이와의 마주침
Ⅲ. 놀이 구경으로 함께 들어가기
Ⅳ. 끝이 아닌 일시적 매듭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문정(Moon-Jeong Kim),이진희(Jin-Hee Lee). (2024).‘구경하는 아이’ 다르게 보기. 영유아교육과정연구, 14 (1), 93-112

MLA

김문정(Moon-Jeong Kim),이진희(Jin-Hee Lee). "‘구경하는 아이’ 다르게 보기." 영유아교육과정연구, 14.1(2024): 93-11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