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포스트휴먼 존재로서 어린이의 발현적 연극놀이 탐색

이용수 58

영문명
Exploring of Emergent Dramatic Play from a Perspective of Posthuman Children
발행기관
한국영유아교육과정학회
저자명
김지윤(Ji-Yoon Kim) 임부연(Boo-Yeun Lim)
간행물 정보
『영유아교육과정연구』제14권 제1호, 18~40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1.3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가 포스트휴먼의 풍요로운 존재임을 발현적 연극놀이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참여관찰과 면담이었으며,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부산의 Y유치원 만 4세 한 학급을 중심으로 2022년 10월 초부터 2023년 1월 말까지 주4~5일, 시간은 대략 9시부터 13시까지 총 70회의 참여관찰을 실시하였다. 면담은 담임과 부담임 교사와 4차례의 개별 면담을 각각 40분 내외로 실시하였고, 어린이와의 형식적 개별·집단 면담도 4차례씩 실시하였다. 필요에 따라 담임과 부담임 교사, 어린이와 비형식적 면담도 수시로 진행되었다. 그 결과 발현적 연극놀이는 첫째, 물질의 배치를 통한 놀이로부터 연극적 요소가 발현되었다. 어린이의 발현적 연극놀이는 이야기, 소품, 인물, 배경 등 연극적 요소가 자연스럽게 사건화되며 발현되었다. 둘째, 포스트휴먼 어린이로서 발현적 연극놀이 가운데 극적 체험을 더욱 깊이 경험하고 어린이만의 특이성이 발현되었다. 포스트휴먼 어린이는 허구의 세계를 진실되게 살아보기를 하였다. 또한 포스트휴먼 어린이는 환경 안에서 물질과 관계를 맺으며 극에 사용되는 소품(물질)의 행위주체성을 인정하고 기꺼이 받아들이며, 인간과 비인간의 경계를 허물어 극으로 초대하여 함께 발현적 연극놀이를 만들어 갔다. 본 연구는 포스트휴머니즘의 관점에 입각하여 어린이를 포스트휴먼 존재로 바라보고 유아교육 기관의 하루일과에서 발생하는 발현적 연극놀이에서 드러나는 어린이 존재의 발현성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향후 유아교육 현장에서는 어린이를 포스트휴먼 존재 인정하고 발현적 연극놀이가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rough expressive theatrical play that children are rich posthuman beings. This study utilized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a posthumanist approach, drawing on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analysis method. The study was conducted at Y Kindergarten in Busan, focusing on one class of four-year-old children, from early October 2022 to the end of January 2023, with observations conducted four to five days a week, approximately from 9:00 to 13:00, totaling 70 sessions. The research findings and their significance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posthuman beings, young children initiate dramatic play from the arrangement of materials, and in their dramatic play, various theatrical elements such as stories, props, characters, and backgrounds are enacted and manifested. Second, as posthuman beings, young children experience heightened dramatic experiences within their dramatic play, and their unique characteristics are expressed.Third, as posthuman beings, young children establish relationships with materials within their environmen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views infants as posthuman beings and examines the emergent nature of infant existence revealed in expressive theatrical play. In the future, it is hoped that children will be recognized as posthuman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at expressive theatrical play will be actively carried ou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지윤(Ji-Yoon Kim),임부연(Boo-Yeun Lim). (2024).포스트휴먼 존재로서 어린이의 발현적 연극놀이 탐색. 영유아교육과정연구, 14 (1), 18-40

MLA

김지윤(Ji-Yoon Kim),임부연(Boo-Yeun Lim). "포스트휴먼 존재로서 어린이의 발현적 연극놀이 탐색." 영유아교육과정연구, 14.1(2024): 18-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