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불교 윤리 관점에서 본 현대 공감 이론의 도덕 심리학적 고찰

이용수 14

영문명
A Moral-Psychological Examination of Contemporary Empathy Theory from the Perspective of Buddhist Ethics
발행기관
불교학연구회
저자명
오현희(Hyunhee OH)
간행물 정보
『불교학연구』제77호, 223~249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2.3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우리는 현대 사회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윤리적 문제들에 대해 유사한 감정과 의견을 공유하기도 하고, 각자의 생각과 의견이 다름을 확인하기도 한다. 이 같은 감정과 의견의 불일치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타인의 입장에 대한 공감적 이해가 필요하지만, 우리는 때때로 전략적으로 우리에게 일어나는 공감 행위를 멈추기도 한다. 그런데 우리가 타인과 감정을 공유할 수 있는 기제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우리는 윤리적 존재나 사회적 존재로서의 인간 특성을 말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공감 자체가 도덕 감정을 뜻하는 것은 아니지만 공감이 도덕 감정을 유발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현대의 공감 이론은 불교 윤리 관점에서 보면 초기불교 사무량심(四無量心)의 자·비·희·사(慈·悲·喜·捨) 관념과 유사함을 알 수 있다. 불교의 사무량심은 “모두가 안락하길 바라는 마음, 모두가 고통에서 벗어나길 바라는 마음, 남의 즐거움을 함께 기뻐하는 마음, 친소(親疏)의 구분 없이 모두를 평등하게 대하는 마음에 대하여 자기감정을 이입하여 함께 느끼는 것”이라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또 불교 윤리 입장에서 보았을 때, 타인을 돕는 이타행이 자기에게도 이익이 되는 자리이타(自利利他)의 원리에 대한 인식은 현대의 인지적 공감(cognitive empathy)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고, 타인에 대한 사랑과 연민 그리고 기쁨과 평등심에 대한 정서적 교감은 현대의 정서적 공감(emotional empathy)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은 현대 공감 이론의 도덕 심리학적 고찰을 통하여 공감의 도덕적 중요성을 고찰하고 현대 공감 이론에 상응하는 불교적 공감 개념과 그 작동 원리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불교 사무량심에서의 공감적 요인이 개개인의 마음 수행은 물론이거니와 타인과 공존하는 현대의 미덕이 될 수 있음을 밝혀보고자 한다.

영문 초록

We share similar feelings and opinions on a variety of ethical issues in modern society, and we also identify differences in our thoughts and opinions. An empathetic understanding of others' positions is needed to resolve these feelings and disagreements, but we sometimes strategically shut down the empathy that occurs in us. However, if we do not have the mechanism to share it with others, it would be hard to say what characterizes us as human beings as ethical or social beings. This is not to say that empathy itself is a moral emotion, but rather that empathy can trigger moral emotions. From a Buddhist ethics perspective, these modern theories of empathy are similar to the early Buddhist notion of the four immeasurable minds. concepts of loving-kindness, compassion, joy, and renunciation. This means that the four senses of Buddhism are “the desire for everyone to be comfortable, the desire for everyone to be free from pain, the desire to rejoice in the joy of others, and the desire to treat everyone equally regardless of age and gender.” Furthermore, from the perspective of Buddhist ethics, recognizing the principle of coexistence—namely, the understanding that altruism that helps others is also beneficial to oneself—can be seen as similar to the cognitive empathy in modern empathy theory. and feelings of love, compassion, joy, and equality for others are similar to emotional empathy in modern empathy theory. Accordingly, this paper examines the moral importance of empathy through moral and psychological considerations of modern empathy theory, and examines the Buddhist concept of empathy and its operating principles that correspond to modern empathy theory. Through this study, we would like to demonstrate that the empathetic element shown in Buddhism (i.e., the four immeasurable minds) is an essential modern virtue that not only applies to individual practice but also to coexistence of others.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공감 이론의 도덕 심리학적 접근과 공감 개념 분석
Ⅲ. 초기불교 사무량심으로 본 공감 개념과 불교 윤리
Ⅳ. 나가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현희(Hyunhee OH). (2023).불교 윤리 관점에서 본 현대 공감 이론의 도덕 심리학적 고찰. 불교학연구, (), 223-249

MLA

오현희(Hyunhee OH). "불교 윤리 관점에서 본 현대 공감 이론의 도덕 심리학적 고찰." 불교학연구, (2023): 223-24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