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일본 다이마만다라(當麻曼茶羅)의 조성과 전사본(轉寫本)의 유통

이용수 33

영문명
The Creation and Distribution of the Japanese Taima Mandala
발행기관
불교학연구회
저자명
이승희(Seunghui LEE)
간행물 정보
『불교학연구』제77호, 183~222쪽, 전체 40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2.31
7,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다이마만다라는 서방극락정토를 표현한 불화의 한 유형이다. 763년 다이마데라(當麻寺)에 최초로 봉안된 이 불화는 이후 수많은 전사본(轉寫本)이 제작되는데, 그 원형이 되는 작품과 전사본을 총칭하여 다이마만다라라고 부른다. 다이마만다라는 쥬조히메(中将姫)라는 나라시대 귀족의 딸이 처음 제작하여 다이마데라에 봉안하였다고 알려진 불화이다. 이 불화는 화면의 구성과 도상이 당대 정토종의 대가인 선도(善導, 613-681)의 교학적인 해석에 근거하여 제작되었다. 하지만 다이마만다라의 연기설화는 후대에 성립된 것으로 400여년이 지난 가마쿠라시대에 형성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연기설화를 만들어내고 다이마만다라가 재인식되는 배경에는 11세기 중반 쇼토쿠태자의 신격화와 고묘의 성지화, 그리고 일본 고유의 산악종교인 슈겐도(修験道)의 영향으로 인한 타이마데라의 성지화, 그리고 정토종의 개창이 있다. 특히 호넨의 제자 쇼쿠화상(證空和尙, 1177-1247)은 다이마만다라를 적극적으로 전사(傳寫)하여 널리 유포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고, 쇼쿠 주변의 정토종승 뿐 아니라 타종단의 사찰에서도 점차 다이마만다라를 전사하여 신앙의 대상으로 모셨다. 이러한 전사문화는 13세기 중엽에 형성되기 시작하여 무로마치와 에도시대까지 이어졌다. 다이마만다라를 전사하는 방식은 동일한 크기, 혹은 1/4, 1/16, 1/100 크기의 불화로 제작하는 방식과 목판에 판각하여 인쇄한 후 채색하는 방식 두 가지가 널리 활용되었다. 일본에서 다이마만다라는 일반 불화와 다른 성보(聖寶)로서 독보적인 가치를 지닌다. 크기와 방식은 다르지만 다이마만다라를 모사하는 전사 문화는 어디에서도 볼 수 없는 독특한 일본의 전통문화이다. 전사 방식 뿐 아니라 다이마만다라와 그 연기설화에서 파생된 <산월아미타내영도>와 그밖에 다이마만다라 에마키, 그리고 본문에서는 자세히 언급하지 않았지만 다이마데라에서 행해지고 있는 이십오보살내영회 등은 매우 일본적인 정토문화현상이다.

영문 초록

The Taima mandala is a type of Buddhist image representing the Western Pure Land. First enshrined at Taimadera in 763, it has since been copied in numerous transcriptions in the exact same form, and these original works and transcriptions are collectively known as Taima mandala. The Taima mandala is a Buddhist painting first created in 763 by the daughter of a Nara nobleman named Chūjōhime and dedicated at Taimadera Temple. The painting’s composition and iconography were based on the doctrinal interpretations of the great Pure Land Buddhist master of the dynasty of Tang China, Shandao (善導, 613-681). However, the story about the origin of the Taima mandala is a later creation that is believed to have been formed in the Kamakura period, more than 400 years later. The creation of the story about the origin and the reappreciation of the Taima mandala are attributed to the deification of Prince Shotoku and the sanctification of the tomb in the mid-11th century, as well as the sanctification of Taimadera due to the influence of Shugendo (修験道), Japan’s indigenous mountain religion, and the founding of the Jōdo shinshū. In particular, Hōnen’s (法然, 1133-1212) disciple Shōkū (證空, 1177-1247) played an important role in actively copying the Taimadera and disseminating it widely, and the temples of other religions as well as those of the Pure Land Buddhists around Shōkū gradually copied the Taimadera and enshrined it as an object of worship. This culture of copying began to take shape around the middle of the 13th century and continued through the Muromachi and Edo periods. Two methods of copying Taima mandalas were widely used: the same-sized Buddhist images, or images in 1/4, 1/16, and 1/100 scale, and woodblock prints, which were then coloured. In Japan, Taima mandalas have a unique value as sacred images that differ from ordinary Buddhist texts. The culture of transferring images such as Taima mandalas, which are copied in the same shape even if they are different in size, is unique. Not only the copying method, but also the Sanwoel Amitabha Naeyeongdo, which is derived from the Taima mandala and the story about its origin, the Taima mandala Emaki, and the Twenty-Five Bodhisattva Naeyeonghoe, which is not mentioned in this text, are very distinctive Japanese Pure Land cultural phenomena.

목차

Ⅰ. 머리말
Ⅱ. 다이마만다라의 성립과 조형의 연원
Ⅲ. 근본 다이마만다라의 재인식과 전사본(轉寫本)의 제작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승희(Seunghui LEE). (2023).일본 다이마만다라(當麻曼茶羅)의 조성과 전사본(轉寫本)의 유통. 불교학연구, (), 183-222

MLA

이승희(Seunghui LEE). "일본 다이마만다라(當麻曼茶羅)의 조성과 전사본(轉寫本)의 유통." 불교학연구, (2023): 183-2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