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zing the current state of AI education research for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정치사회연구소
- 저자명
- 권성연
- 간행물 정보
- 『한국과 국제사회』제7권 제6호, 565~591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학교교육에서 인공지능 교육을 위한 국가 정책이 강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인공지능교육의 실천 주제인 교사, 그리고 예비교사들의 역할 변화와 중요성이 그 어느 때 보다 강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20년~2023년까지 수행된 예비교사 및 교사 대상 인공지능 교육 연구 현황을 분석함으로써 인공지능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요구되는 연구의 방향과 과제를 제안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총 71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하여 출판연도, 학술지, 교사 분류, 연구방법, 연구주제를 기준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도별 논문 편수는 2020년에 10편, 2021년에 16편, 2022년에 17편, 2023년에 28편으로 2023년 들어 큰 폭의 증가세를 나타냈다. 둘째, 게재된 학술지는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가 14개로 가장 많았고 한국정보교육학회, 한국컴퓨터교육학회 순이었다. 셋째, 교사 구분에 있어서는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26편, 현직 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43편이었고 초등 교사 대상 연구가 중등 교사에 비해 많았다. 넷째, 연구방법은 설문 등을 활용한 조사연구가 절반이 넘는 비중을 차지하였다. 다섯째, 연구주제는 인공지능 및 인공지능과 관련된 경험과 인식 연구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교사의 역량도출과 진단, 교사교육에 대한 연구가 뒤를 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사 대상 인공지능 교육연구의 확대, 특히 중등교사 대상 인공지능 교육 연구 활성화, 예비교사의 교육과정 체계 개선 연구, 질적 연구 및 인공지능교육의 실제적 맥락을 반영한 연구의 필요성 등 관련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AI education research for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conducted from 2020 to 2023 and proposed research directions required to activate AI education. For this purpose, 71 articles were analyzed based on the year of publication, journal, teacher, research method, and topic.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articles by year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2023. Second, KLACI published the most articles with 14, followed by KAIE and the KACE. Third, there were 26 studies on pre-service teachers and 43 studies on in-service teachers, there were more studies of primary teachers than secondary teachers. Fourth, surveys methods accounted for more than half of the studies. Fifth, the most researched topics wer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related to A.I., followed by development of teacher competency and measurement tool. Based on these findings, we proposed implications such as the need to expand research on AI education for teachers, specially secondary teachers, improving the educational curriculum for pre-service teachers, and the need for qualitative research and the research that reflect the actual context of AI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과 국제사회 제7권 제6호 목차
- 공동체 미학의 애니메이션 캐릭터 창조에 대한 응용 연구
- 거점 세종학당을 통한 세종학당 현지화 연구
- 19세기 콜롬비아 보고타의 수도 위상에 대한 도전과 대응
- 한국어 ‘를’ 중출문의 원인 연구
- 이승우 소설 「방」에 ‘내적 욕망과 자기발견’으로 나타나는 치매 모티프 연구
- 연극중심 문화예술교육 운영 및 대학생의 경험 연구
- 서양인들의 아리랑에 대한 인식조사와 교수모형 연구
- 중국 웹툰에서 2D 애니메이션으로의 매체 전환의 시각 연구
- 다문화 애니메이션 영화에 나타난 서사 구조와 문화 차원 고찰
- 정부・공공기관 LMO 홈페이지(정보시스템) 비교 분석
- 영화 캐릭터 이미지 구현요소가 관객의 관람만족 및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4·19혁명정신 계승과 선양
- 브라질 고등학교 사회과 교과서에 나타난 한국에 대한 인식 연구
- 유럽에서의 중국 공공외교에 관한 연구
- 일제강점기 2・8 독립선언과 한국 유학생 활동 고찰
- 한국 민주화운동의 정신 계승과 선양의 의미
- 일본 지방자치단체의 외국인주민 보건의료 지원 정책 연구
-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with flexible work system and organizational satisfaction in public sector: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and age
- 정부주도형 중국 두 생태박물관 비교 분석 연구
- 청말·민국 시기 중국 지리교과서에 나타난 한국 인식의 변화
- 청소년기 또래관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SNS중독의 매개효과 검증
- 독일어권의 사물인터넷 기반의 빅데이터와 블록체인을 활용한 사회변화
- 중년기 정서적 불안에 대한 강화요인으로서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삶의 의미
- 자침(磁針) 없는 나침반
-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장애인 우울진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마음챙김 명상의 주의 자각이 말기 암 환자의 죽음불안 감소에 미치는 효과
- 예비 교사 및 현직 교사 대상 인공지능교육 연구 현황 분석
- 중년기 성인의 노화불안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국내외 아동의 자기애 연구 메타 분석
- The Effects of Playfulness and Self-Regulation on Social Competence in Chinese 3-Year-Olds: Focusing on Shanxi Sheng, China
- 내면화된 수치심이 부부관계 진솔성에 미치는 영향
- PBL기반 디자인씽킹을 활용한 패션디자인 수업사례 연구
-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대처와 감사성향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 사회복지학에서의 융합교육에 관한 인식과 전망
- 만성질환자의 의료기관 유형별 의료이용 경험과 건강 결과의 차이분석
- 희귀난치 환아 가족의 생활 실태와 지원을 위한 방안연구
- 미국 바이든 행정부의 대북인권정책과 한국의 대응전략
- 포퓰리즘은 반(反)민주적인가? 라클라우(E. Laclau)의 구성주의적 포퓰리즘 이론과 민주적 혁신
- 마비전의 진화에 따른 특수작전부대 운용에 관한 연구
- ‘탈진실’ 시대 미디어 리터러시 개념과 공영방송의 역할
- 민주시민교육과 통일교육의 관계모델 탐색
- 한국 조선산업정책의 변화 분석
- 자본주의 다양성 이론의 변화 양상과 함의
- 역사적 제도주의의 관점에서 박정희 정부의 국회의원 선거제도 분석
- 한국 유권자들의 이념적 정렬과 정서적 양극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