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Visual Study on the intermedial transposition of Chinese Webtoon to 2D Animation: Focusing on webtoon and 2D animation
- 발행기관
- 한국정치사회연구소
- 저자명
- 장옌웨이 한창완
- 간행물 정보
- 『한국과 국제사회』제7권 제6호, 83~110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웹툰이 2D 애니메이션으로의 매체 전환 창작은 새로운 유행이 되어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이 두 매체 간 전환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적다. 본 논문은 베르너 볼프의 트랜스미디어 변환 이론과 브루스 블록의 시각 이론을 바탕으로 중국에서 성공한 만화 <대리사일지>를 애니메이션으로의 변환을 미디어 변환 관점에서 분석 연구하였다. 이 연구는 한국 만화의 각색 및 트랜스미디어 변환과 관련된 학문 분야에 연구 방향을 제공하며 응용 분야에는 제작 관점의 참고 의견을 제공한다. 우리는 웹툰에서 2D 애니메이션으로의 매체 전환을 영향하는 요인들을 탐구할 뿐만 아니라 두 매체의 시각적 요소 표현의 차이를 밝힐 것이다. 웹툰에서 2D 애니메이션으로의 전환 과정에서 시각적인 충격을 강화하고 현실감을 높이며 흥미를 더하는 방법에 중점을 둘 것이다. 또한, 사려 깊은 촬영 안내를 통해 관중의 참여도를 더욱 강화하는 방법을 탐구할 것이다. 이러한 측면을 깊이 연구함으로써 우리는 이러한 매체 전환 과정에서의 기회와 도전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conversion of webtoon to 2D animation is gradually becoming an emerging trend in intermedial transposition creation. However, there is currently relatively little research on the conversion between these two mediums.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the adaptive changes in visual elements during the successful conversion of the webtoon to 2D animation, using Werner Wolf’s theory of intermedial transposition conversion and Bruce Block’s visual theory. This study provides research ideas for the adaptation and intermedial transposition conversion of Korean comics and offers reference opinions for the production perspective in the application field. We will explor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conversion of webtoon to 2D animation, as well as reveal the differences in visual elements between the two mediums. In the process of converting webtoon to 2D animation, we will focus on enhancing visual impact, increasing realism, and adding entertainment. Additionally, we will explore how to further enhance audience- involvement through artful camera guidance. By delving into these aspects, we can better understand the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in this intermedial transposition conversion proces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매체 특성으로 본 웹툰와 2D 애니메이션의 인해 시각 요소 차이
Ⅳ. <대리사일지> 웹툰와 2D 애니메이션의 매체 간 전환 과정에서 시각적 요소의 적응성 변화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과 국제사회 제7권 제6호 목차
- 공동체 미학의 애니메이션 캐릭터 창조에 대한 응용 연구
- 거점 세종학당을 통한 세종학당 현지화 연구
- 19세기 콜롬비아 보고타의 수도 위상에 대한 도전과 대응
- 한국어 ‘를’ 중출문의 원인 연구
- 이승우 소설 「방」에 ‘내적 욕망과 자기발견’으로 나타나는 치매 모티프 연구
- 연극중심 문화예술교육 운영 및 대학생의 경험 연구
- 서양인들의 아리랑에 대한 인식조사와 교수모형 연구
- 중국 웹툰에서 2D 애니메이션으로의 매체 전환의 시각 연구
- 다문화 애니메이션 영화에 나타난 서사 구조와 문화 차원 고찰
- 정부・공공기관 LMO 홈페이지(정보시스템) 비교 분석
- 영화 캐릭터 이미지 구현요소가 관객의 관람만족 및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4·19혁명정신 계승과 선양
- 브라질 고등학교 사회과 교과서에 나타난 한국에 대한 인식 연구
- 유럽에서의 중국 공공외교에 관한 연구
- 일제강점기 2・8 독립선언과 한국 유학생 활동 고찰
- 한국 민주화운동의 정신 계승과 선양의 의미
- 일본 지방자치단체의 외국인주민 보건의료 지원 정책 연구
-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with flexible work system and organizational satisfaction in public sector: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and age
- 정부주도형 중국 두 생태박물관 비교 분석 연구
- 청말·민국 시기 중국 지리교과서에 나타난 한국 인식의 변화
- 청소년기 또래관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SNS중독의 매개효과 검증
- 독일어권의 사물인터넷 기반의 빅데이터와 블록체인을 활용한 사회변화
- 중년기 정서적 불안에 대한 강화요인으로서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삶의 의미
- 자침(磁針) 없는 나침반
-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장애인 우울진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마음챙김 명상의 주의 자각이 말기 암 환자의 죽음불안 감소에 미치는 효과
- 예비 교사 및 현직 교사 대상 인공지능교육 연구 현황 분석
- 중년기 성인의 노화불안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국내외 아동의 자기애 연구 메타 분석
- The Effects of Playfulness and Self-Regulation on Social Competence in Chinese 3-Year-Olds: Focusing on Shanxi Sheng, China
- 내면화된 수치심이 부부관계 진솔성에 미치는 영향
- PBL기반 디자인씽킹을 활용한 패션디자인 수업사례 연구
-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대처와 감사성향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 사회복지학에서의 융합교육에 관한 인식과 전망
- 만성질환자의 의료기관 유형별 의료이용 경험과 건강 결과의 차이분석
- 희귀난치 환아 가족의 생활 실태와 지원을 위한 방안연구
- 미국 바이든 행정부의 대북인권정책과 한국의 대응전략
- 포퓰리즘은 반(反)민주적인가? 라클라우(E. Laclau)의 구성주의적 포퓰리즘 이론과 민주적 혁신
- 마비전의 진화에 따른 특수작전부대 운용에 관한 연구
- ‘탈진실’ 시대 미디어 리터러시 개념과 공영방송의 역할
- 민주시민교육과 통일교육의 관계모델 탐색
- 한국 조선산업정책의 변화 분석
- 자본주의 다양성 이론의 변화 양상과 함의
- 역사적 제도주의의 관점에서 박정희 정부의 국회의원 선거제도 분석
- 한국 유권자들의 이념적 정렬과 정서적 양극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