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영어 교육과정 및 수업에서 문화 간 화자를 위한 문화다양성교육의 방향

이용수 40

영문명
Basic Deliberation on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for Intercultural Speakers in Primary English Curriculum and Classes
발행기관
글로벌교육연구학회
저자명
김진석(Jin-Seok Kim) 장은숙(Eun-Suk Jang)
간행물 정보
『글로벌교육연구』제15집 4호, 49~76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2.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영어과 교육과정에서 문화 간 화자를 위한 문화다양성교육의 방향을 정립하고, 영어교실수업에서 문화다양성 교육을 내실있게 구현하는 방향을 설정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2022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을 내용 선정의 측면과 내용 조직 측면(스코프와 시퀀스)에서 분석하고 논의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시대적, 사회적 요구를 반영하여 성격 및 목표에 문화다양성의 중요성을 포함하려고 시도하였으나, 문화 간 화자를 위한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을 함양하는 것을 명시하지 않았다. 둘째, 문화다양성의 핵심가치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다양한 문화들의 가치, 규준, 양식 등에 대한 소재가 제시되지 않았다. 셋째, 이해기능(듣기나 읽기)의 성취기준들 중 문화다양성과 관련된 성취기준은 2개만 설정되어 있고, 표현기능(말하기나 쓰기)의 성취기준은 설정되어 있지 않았다. 넷째, 문화다양성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이나 활동을 명시적으로 제시하지 않았다. 다섯째, 내용체계 중 맥락에서는 스코프와 시퀀스를 이루고 있음에도, 3∼4학년군의 학습자가 언어적 의사소통 방식을 체득할 필요가 있음을 간과하고 있었다. 여섯째, 문화다양성의 학년 간, 학교급 간 구분이 연계성 측면에서 보면 순서대로 구성되어 있지만, 동일한 학교급에서 횡적 연계성을 확보하고 있지 않았다. 일곱째, 학교급별로 문화 간 적응 발달단계를 고려하여 내용이 조직되어 있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영어 학습자들이 문화 간 화자로서 문화다양성교육을 통해 다양한 문화들의 가치나 규준 등을 이해하고 존중할 수 있는 글로벌 역량을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함양할 수 있는 방향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basic deliberation on policy and implementation of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for intercultural speakers in English classes. To achieve the purpose, the 2022 revised English National Curriculum was analysed in terms of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for intercultural speakers wasn't specified in the characters and the goals of the curriculum. (2) The value, norm, belief, and cultural custom of cultural diversity were not presented in the teaching materials. (3) Accomplishment standards were not established transparently in the aspect of cultural diversity. (4)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classroom activities were not specified for learners to get high motivation and involvement in classes. (5) Scope and sequence were not considered based on grade clusters in terms of education for cultural diversity. From the findings, it was suggested that direction on policy and implementation of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needs to be established based on content and structural design for intercultural speakers to systematically and effectively improve their competence on cultural diversity in primary English classes.

목차

Ⅰ. 서 론
Ⅱ. 문화다양성교육
Ⅲ. 연구방법
Ⅳ. 분석 및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진석(Jin-Seok Kim),장은숙(Eun-Suk Jang). (2023).초등영어 교육과정 및 수업에서 문화 간 화자를 위한 문화다양성교육의 방향. 글로벌교육연구, 15 (4), 49-76

MLA

김진석(Jin-Seok Kim),장은숙(Eun-Suk Jang). "초등영어 교육과정 및 수업에서 문화 간 화자를 위한 문화다양성교육의 방향." 글로벌교육연구, 15.4(2023): 49-7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