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사회 정의 관점에서의 아동 교육복지 정책 분석

이용수 109

영문명
Analysis of Child Education Welfare Policies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Justice: Focusing on Dream Start, Head Start, and Sure Start
발행기관
한국비교교육학회
저자명
홍미영(Mi Yung Hong) 이슬아(Seula Lee)
간행물 정보
『비교교육연구』제33권 제6호, 113~144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2.31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사회 양극화가 심화되는 상황에서 저소득층 아동과 청소년을 위한 교육 격차와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한 교육복지정책의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특히 미국의 헤드스타트(Head Start), 영국의 슈어스타트(Sure Start), 한국의 드림스타트(Dream Start) 정책을 중심으로 그들이 어떻게 사회적 정의를 실현하는지 분석하였다. [연구방법]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존 롤즈(John Rawls)의 분배적 정의 이론 이후 지속해서 확장되고 발전되어 온 다양한 사회적 정의 이론 가운데 Gewirtz와 Cribb(2002)의 ‘다면적 사회 정의 이론’을 기반으로 하여 각국의 아동 교육복지 정책들을 분석하였다. 이는 각 정책의 ‘분배적 정의, 문화적 정의, 조직적 정의’의 측면을 상정하고 있으며, [연구결과] 주요 연구결과 첫째, 각국 정책들이 충분한 예산 및 사회적 자원의 분배, 정보의 접근성 향상, 정책 수혜자들의 다양성 인정, 민주적인 참여 촉진 등을 통해 분배적, 문화적, 조직적 정의를 각기 다른 양상으로 실현하고 있음을 밝혔다. 특히, 분배적 정의 측면에서는 ‘충분한 정보’의 배분과 ‘접근성’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며, 문화적 정의와 관련해서는 표적 집단의 ‘다름(difference)’과 ‘다양성(diversity)’에 대한 충분한 인정(recognition)이, 조직적 정의 측면에서는 의사 결정 권한의 분배 방식 및 노동의 분업이 민주적인 방식으로 다양한 참여자들의 ‘참여’를 장려하였는가가 중요한 기준이 될 수 있음을 도출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각 정의의 측면이 상호 작용하고 있음을 밝혔으며, 향후 아동 교육복지 정책의 방향성과 관련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s educational welfare policies to address the widening educational disparities among low-income children and adolescents under increasing social polarization. It focuses on analyzing the enactment of social justice in the Head Start program in the USA, Sure Start in the UK, and Dream Start in South Korea. [Methods] Employing Gewirtz and Cribb's(2002) plural models of social justice, an extension of John Rawls' theory of distributive justice, this study examines the threefold aspects of 'distributive, cultural, and organizational justice' in these policies. [Results] Key findings highlight that these policies variously achieve distributive, cultural, and organizational justice through effective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accessibility, recognition of beneficiary diversity, and democratic participation. Specific emphasis is placed on the need for equitable information distribution in distributive justice, acknowledgment of diversity in cultural justice, and democratic stakeholder participation in organizational justice. [Conclusion] The study underscores the necessity of exploring how these justice dimensions interact and coexist, proposing policy recommendations for the future trajectory of child education welfare.

목차

Ⅰ. 연구 필요성 및 목적
Ⅱ. 이론적 배경
Ⅲ. 사회정의 이론의 적용 및 정책 분석
Ⅳ.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홍미영(Mi Yung Hong),이슬아(Seula Lee). (2023).사회 정의 관점에서의 아동 교육복지 정책 분석. 비교교육연구, 33 (6), 113-144

MLA

홍미영(Mi Yung Hong),이슬아(Seula Lee). "사회 정의 관점에서의 아동 교육복지 정책 분석." 비교교육연구, 33.6(2023): 113-14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