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청소년기 학교적응 프로파일의 전이 양상 및 영향변인 검증

이용수 42

영문명
The Analysis of Latent Profile Transition Patterns and Influencing Factors of Adolescence’s School Adjustment
발행기관
한국교육평가학회
저자명
장은아(Eunah Jang) 정혜원(Hyewon Chung)
간행물 정보
『교육평가연구』제36권 제4호, 731~760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2.31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의 학교적응 잠재프로파일 분류 및 학교급 전환 이후 잠재프로파일의 전이 양상을 확인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종단연구2013의 3차(중1), 6차(고1)년도 자료에 3단계 접근법(three-step approach)을 활용한 잠재전이분석(latent transition analysis)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중학교 1학년 시기와 고등학교 1학년 시기에 공통적으로 ‘평균수준 적응 집단’, ‘고규칙준수 평균수준 적응 집단’, ‘고수준 적응 집단’, ‘저수준 적응 집단’의 4개의 잠재프로파일이 도출되었다. 둘째, 전반적으로 동일한 집단을 유지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으나, 중학교 1학년 시기 ‘저수준 적응 집단’의 경우 고등학교 1학년 시기에 학교적응이 상대적으로 높은 집단으로 향상되는 확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학교 1학년 시기 학업적 자아개념, 사회적 자아개념, 자기관리, 부모-자녀 상호작용, 상호작용 수업방식, 교사열의, 성취압력이 높을수록 상대적으로 ‘저수준 적응 집단’ 대비 학교적응 구성요인의 평균이 높은 잠재프로파일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넷째, 고등학교 1학년 시기 개별화 수업방식, 상호작용 수업방식, 교사열의, 성취압력이 높을수록 ‘저수준 적응집단’보다는 학교적응 수준이 높은 잠재프로파일에 소속할 가능성이 증가하였다. 다섯째, 학업적 자아개념과 자기관리가 학교적응 잠재프로파일의 전이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청소년의 학교생활에 적응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다각적인 지원방안을 모색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latent profile classification of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and the transition patterns of latent profiles after school-level transitions, to explore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m. To do this, we applied latent transition analysis with 3-step approach to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13 data from the 3th and 6th wave (7th and 10th grade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our latent profiles commonly appeared across the 7th grades and the 10th grades: ‘average-level adjustment group’, ‘high-observance of rules average-level adjustment group’, ‘high-level adjustment group’, and ‘low-level adjustment group’.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transition patterns of latent profiles for school adjustment, the overall rate of maintaining the same group was the highest. Third, the higher academic self-concept, social self-concept, self-management, parent-child interaction, interactive teaching methods, teachers’ enthusiasm and achievement pressure,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a latent profile with relatively higher mean of school adjustment in the 7th grades. Fourth, the higher individualized teaching methods, interactive teaching methods, teachers’ enthusiasm and achievement pressure,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a latent profile with relatively higher mean of school adjustment in the 10th grades. Fifth, academic self-concept and self-management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transition of latent profiles. Based on the findings, implications for improving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은아(Eunah Jang),정혜원(Hyewon Chung). (2023).청소년기 학교적응 프로파일의 전이 양상 및 영향변인 검증. 교육평가연구, 36 (4), 731-760

MLA

장은아(Eunah Jang),정혜원(Hyewon Chung). "청소년기 학교적응 프로파일의 전이 양상 및 영향변인 검증." 교육평가연구, 36.4(2023): 731-76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