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교육 참여가 수학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13
- 영문명
- The Effect of Participation in Private Education on Math Affective Attitudes: Measurement Invariance and Differential Item Functioning in Latent Class MIMIC Model
- 발행기관
- 한국교육평가학회
- 저자명
- 송효섭(Hyo Seob Song) 김현철(Hyun Chul Kim) 정희선(Hee Sun Jung)
- 간행물 정보
- 『교육평가연구』제36권 제4호, 687~70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15년「경기교육종단연구(GEPS)」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설문 자료를 잠재계층 MIMIC 모형에 적용하여, 수학 정의적 태도의 지표변수에 대한 수학 사교육 참여의 직접효과를 확인하고, 사교육 참여가 수학 정의적 태도의 잠재계층 멤버십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수학 정의적 태도에 대한 이질적 잠재계층과 수학 사교육 참여 여부에 따른 균일 및 비균일 차별기능문항이 탐지되었으며, 사교육 참여가 잠재계층멤버십에 미치는 유의한 영향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수학 정의적 태도의 개별 항목에 대한 사교육 효과 분석을 통해 지표변수에 대한 측정동일성 검증의 필요성을 확인하였으며, 사교육 참여가 수학 정의적 태도의 잠재계층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함으로써 학교수학교육 현장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direct effect of math private education participation on the indicators of math affective attitudes, and analyzed the effect of private education participation on the latent class membership of math affective attitudes. To this end, the survey data of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2015 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GEPS) were applied to the latent class MIMIC model. As a result, heterogeneous latent classes for math affective attitudes were detected, and uniform and non-uniform differential item functioning were detected depending on whether math private education participated. In addition, the significant impact of participation in math private education on latent class membership was confirmed. This study confirmed the necessity of measurement invariance by analyzing the effect of math private education on individual items of math affective attitudes, and verified the effect of participation in private education on the latent class of math affective attitudes, it presents meaningful implications for math education in the school fiel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코로나19 시기 청소년이 지각한 재난안전에 대한 응답양식 분석
- 잠재전이분석과 머신러닝 기법을 적용한 초-중 학교급 전환에 따른 자기조절학습 변화양상과 예측변인 탐색
- 사교육 참여가 수학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어 논·서술 답안 자동채점 프로그램 PASTA-I 개발
- 청소년기 학교적응 프로파일의 전이 양상 및 영향변인 검증
- 공변수 IRTree 모형을 적용한 대학전공선택검사 공학계열 문항의 성별에 따른 응답 경향성 분석
- 랜덤집단 설계 IRT 검사 동등화의 표준오차 추정을 위한 델타 방법의 기능 진단
- 중학생의 민주적 의사소통 수행 수준별 특성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