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코로나19 시기 청소년이 지각한 재난안전에 대한 응답양식 분석
이용수 76
- 영문명
- Analysis of Response Styles for Disaster Safety Perceived by Adolescents During COVID-19: Application of an Item Response Tree Model
- 발행기관
- 한국교육평가학회
- 저자명
- 박찬호(Chanho Park) 김성은(Sung Eun Kim)
- 간행물 정보
- 『교육평가연구』제36권 제4호, 607~63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2020년 한국아동ㆍ청소년패널조사(KCYPS) 자료에 문항반응나무 모형을 적용하여 코로나19 시기 청소년이 지각한 재난안전 조사 자료를 분석하였다. 코로나19라는 큰 사회적 재난의 시기에 재난안전에 대한 청소년의 응답에는 재난에 대해 갖는 기본적인 인식 외에 응답양식이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연구 결과, 청소년은 코로나19와 같은 재난에 대해 일반적으로 안전하다고 인식하였지만, 본인과 우리 사회가 재난으로부터 얼마나 안전한가 하는 인식에 대해서는 차이를 보였다. 또한 재난에 대한 지나친 불안감을 의미하는 부정적 극단 응답양식과 재난에 대한 지나친 무관심을 의미하는 긍정적 극단 응답양식이 응답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도 확인하였다. 그리고 청소년의 재난안전 인식은 삶의 만족도와 행복감, 재난 시 행동요령을 숙지하는 정도와 관련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의 활용 및 후속 연구도 함께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urvey data on the perception of disaster safety by adolescents during the COVID-19 period, using the data from the 2020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As a large social disaster, COVID-19 could affect the adolescents' responses in addition to their perceptions of disasters. Therefore, we applied the item response tree model to analyze the response patterns. The results showed that adolescents generally felt safe from disasters such as COVID-19, but their perceptions of disaster safety differed between safety of individuals and that of society.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negative extreme response styles and positive extreme response styles, which represent excessive anxiety and excessive indifference to disasters, respectively. Moreover, the adolescents' perceptions of disaster safety were related to life satisfaction, happiness, and the degree of knowledge of disaster response measures. We also proposed the utilization and follow-up studies of the research resul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분석방법
Ⅳ.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코로나19 시기 청소년이 지각한 재난안전에 대한 응답양식 분석
- 잠재전이분석과 머신러닝 기법을 적용한 초-중 학교급 전환에 따른 자기조절학습 변화양상과 예측변인 탐색
- 사교육 참여가 수학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어 논·서술 답안 자동채점 프로그램 PASTA-I 개발
- 청소년기 학교적응 프로파일의 전이 양상 및 영향변인 검증
- 공변수 IRTree 모형을 적용한 대학전공선택검사 공학계열 문항의 성별에 따른 응답 경향성 분석
- 랜덤집단 설계 IRT 검사 동등화의 표준오차 추정을 위한 델타 방법의 기능 진단
- 중학생의 민주적 의사소통 수행 수준별 특성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