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고학으로 살펴본 紅山文化와 고조선
이용수 126
- 영문명
- A Study on Similarities form Hongsan Culture to Gojoseon Culture
- 발행기관
- 바른역사학술원
- 저자명
- 송옥진(Okjin Song)
- 간행물 정보
- 『역사와 융합』제17호, 83~112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고조선의 영역 중 요서지역에서 발전했던 홍산문화와 하가점하층문화의 계통성을 고고학적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최근 하가점하층문화의 고고학적 성과가 계속될수록 이 지역 선후대 문화의 계통성, 초기 청동기시대의 진입 시기 및 발견된 유물과 유적은 한국과 중국의 문헌 기록에서보이는 고조선과 부합한다. 지역적으로는 선대문화인 홍산문화가 그대로 고조선문화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며 유물에서 보이는 홍산문화 요소는 소하연문화 시기를 거쳐 계승관계를 유지하고 있음을 명확히 보여주고 있다. 그중에서도 주거지, 인적구성, 석성, 토기, 채회도의 문양 등에서 보이는 뚜렷한연관성은 두 문화간 계승성을 판단하게 하는 근거가 될 뿐 아니라 이 문화계열의 전반적인 사유체계에서 그 바탕이 된다. 두 문화의 공통점은 문화간 계통성으로 고조선의 건국 연대의 타당성을 제공하고 주변 문화와의 교류 흔적으로 고조선의 인식 범위에 대해서도 알 수 있게 한다. 특히 유전학적 구성의 계통성과 주거지 및 석성의 울타리 개념은 한국 고유의 “우리” 개념의시발점으로 보이는데 본고에서는 홍산문화와 고조선문화, 특히 전기 고조선이라 할 수 있는 하가점하층문화와의 계통성에 초점을 맞추어 전개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is review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angsan culture and Gojoseon Culture. The two cultures developed in the liaoXi among areas of Gojoseon, and their similarities were found in the archaeological aspect. Hongsan Culture was a Neolithic culture that flourished from 4700BC to 3000BC. Xiajiadian Lower Culture was a Bronze Age culture that flourished in the Yoseo region from 2400BC to 1500BC and velongs to the culture of the early Gojoseon period. In particular, the distinct connection shown in the residential area, human composition, moat, stone castle, earthenware, jade, and painting patterns is the basis for showing that it is closely related to Gojoseon culture. It is also possible to know not only the system similarity between the cultures of Hongsan and Gojoseon generations, but also the exchanges with the surrounding cultures. Among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two cultures, I think it recognizes that the characteristic of Gojoseon culture in particular is what is called “we/our”. The beginning of these concept is compartmentalization, which developed into moat, astronomical observation, and collective sprit.
목차
1. 머리말
2. 홍산문화와 하가점하층문화의 비교
3. 홍산문화와 고조선문화의 계통성
4.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역사와 융합 제17호 목차
- 《고본죽서기년집증》 초벌번역 3편
- ‘용(龍)’ 소재 웹툰에 나타난 용의 문화원형 계승·변주 양상과 스토리텔링의 의미
- 주요 성명학의 작명법 비판적 고찰
- 기층신앙으로서 부적의 문화콘텐츠 활용방안 연구
- 『신당서』가탐도리기에 기록된 신라 북계의 재해석
- 명리학(命理學)적 진로적성론을 활용한 사무원 명조(命造) 사례의 통계적 직업만족도 검증 연구
- 동서양의 결혼관(結婚觀) 변천(變遷) 연구
- 김승옥 소설 속 공간에 나타나는 에로티시즘 양상 연구
-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교육 환경 변화에 따른 학습 자 성향 분석 및 융합 교과목 운영에 관한 연구
- 전통의학 차별 속에서도 일제 식민 지배에 맞선 한의(약)계의 독립운동
- 일제강점기 권번 기생의 일람표 연구(3)
- 고고학으로 살펴본 紅山文化와 고조선
- 日本書紀 繼體紀의 伴跛관련 사건에 나오는 지역의 위치비정에 관한 연구
- 만재 주원택의 기행가사에 나타난 서술방식과 국토의식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NEW
- Cultural Integration and Innovation in Music Composition - Taking the First Movement of Bao Yuankai's Symphony No. 6 <Yanzhao> as An Example
- Really, Is it just “Backwards”?—Reevaluating Adorno's Multifaceted Analysis of Stravinsky
- Artistic Innovation:The Construction of Virtual Spaces in 2D Fantasy Film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