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신당서』가탐도리기에 기록된 신라 북계의 재해석
이용수 106
- 영문명
- The review of Silla northern frontier based on Gatam’s footage on
- 발행기관
- 바른역사학술원
- 저자명
- 이진우(Jin-Woo Lee)
- 간행물 정보
- 『역사와 융합』제17호, 55~82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고대 압록강에 대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일반화된 신라의 북계는 평양-함흥이남으로 고착되어 한반도를 벗어나지 못하였고 고려역시 그 북방한계가현 압록강 이남으로 인식되어왔다. 이같은 배경에는 압록鴨綠과 패수浿水 두강물을 한반도 수계로 오인하였기 때문이었다. 이에「도리기」분석을 통해조빙사 가탐賈耽을 태운 선박이 요동으로 진입하는 해상관문 당은포는 요하구에 있었으며, 당시 압록강은 해운과 대량의 군사이동이 가능했던 요하遼河 로 명대에 편찬된「주해도편」과『성경통지』도서편이 이를 뒷받침하고 있기때문이며, 시대에 따라 대릉하大陵河도 압록강으로 불리었던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가탐이 언급한 고구려왕도 및 환도성丸都縣城은 지리적으로 집안輯安 보다는 요하중류 철령,개원부근에 있어야 합리적이다. 또한『요사』 는 해주海州 암연현 동쪽이 신라북계이며「주해도편」에도 요녕성 해주 남쪽에 신라채新羅寨라는 성채가 있어서 이같은 사실을 확인해주고 있다.
영문 초록
Based on former studies on the ancient Aprok River(鴨綠), the northern boundary of Silla was limited to the south of Pyongyang-Hamheung frontier so, it is not escaped from Korean Peninsula, thus next dynasty Goryo also has northern boundary which limited far from the current Aprok River. This phenomenal background was these two rivers, Aprok and Paesu(浿水), were mistakenly located still in Korean peninsula even they were in northern area of Liaotung peninsula.
Accordingly, through the analysis of 「Dorigi道里記」written by Tang(唐) delegate Gatam(賈耽), a port Dangeunpo the maritime gateway where the ships carrying Gatam entered Liaodong was located in Liaohe river. The river named Aprok in ancient period is Liaohe river where the shipping and massive maritime campaign in war time possible. The geographical map「Juhaedo-pyeon舟海圖編」in Ming dynasty and 「Doseo-pyeon圖書編」proved this,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Daling River(大凌河) was also called the Aprok River in sometimes. Accordingly, it is reasonable that Goryeo royal palace(高麗 王城) and Hwando fortress(丸都城), which Gatam mentioned, should also be located near Tieling(鐵嶺) and Kaiyuan(開元) in the middle stream of Liaohe river(遼河) not Jian(輯安). In addition,『Liaoshi遼史』 confirms this fact again that the east area of Amyeonhyeon(岩淵縣) in Haizhou(海州) of Liaotung was attached to the northern frontier of Silla, and fortress called Sillachae(新羅寨) was depicted in『Juhaedo- pyeon籌海圖編』prove this.
목차
1. 머리말
2. 신라 북계에 대한 전통적 인식.
3. 삼국 및 고려시대 압록강에 대한 고찰.
4. 「도리기道里記」기록과 고지도 상호비교 및 검토.
5. 맺음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역사와 융합 제17호 목차
- 《고본죽서기년집증》 초벌번역 3편
- ‘용(龍)’ 소재 웹툰에 나타난 용의 문화원형 계승·변주 양상과 스토리텔링의 의미
- 주요 성명학의 작명법 비판적 고찰
- 기층신앙으로서 부적의 문화콘텐츠 활용방안 연구
- 『신당서』가탐도리기에 기록된 신라 북계의 재해석
- 명리학(命理學)적 진로적성론을 활용한 사무원 명조(命造) 사례의 통계적 직업만족도 검증 연구
- 동서양의 결혼관(結婚觀) 변천(變遷) 연구
- 김승옥 소설 속 공간에 나타나는 에로티시즘 양상 연구
-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교육 환경 변화에 따른 학습 자 성향 분석 및 융합 교과목 운영에 관한 연구
- 전통의학 차별 속에서도 일제 식민 지배에 맞선 한의(약)계의 독립운동
- 일제강점기 권번 기생의 일람표 연구(3)
- 고고학으로 살펴본 紅山文化와 고조선
- 日本書紀 繼體紀의 伴跛관련 사건에 나오는 지역의 위치비정에 관한 연구
- 만재 주원택의 기행가사에 나타난 서술방식과 국토의식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NEW
- Cultural Integration and Innovation in Music Composition - Taking the First Movement of Bao Yuankai's Symphony No. 6 <Yanzhao> as An Example
- Really, Is it just “Backwards”?—Reevaluating Adorno's Multifaceted Analysis of Stravinsky
- Artistic Innovation:The Construction of Virtual Spaces in 2D Fantasy Film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