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홍무제의 공민왕 책봉 조서의 實在

이용수 29

영문명
The Existence of Emperor Hongwu's Royal Edict of King Gongmin's Cefeng(冊封) to King of Goryeo
발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저자명
권용철
간행물 정보
『역사문화연구』제88집, 135~158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1.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에서는 공민왕 19년(1370) 5월에 명의 사신이 도착하여 공민왕을 고려국왕으로 정식 책봉하는 기록에서부터 의문을 가지고, 고려-명의 초기 관계 형성이라는 상황을 염두에 두면서 공민왕을 책봉하는 조서 기록을 발견하여 이에 대한 의미를 부여하고자 했다. 『고려사』의 공민왕 세가에는 공민왕이 홍무제에 의해 고려국왕으로 책봉되었을 때 전달된 문서로 誥命의 존재만 보이고 있다. 그리고 명 측의 기록에서도 똑같이 誥命의 내용이 일부 글자만 달라진 채 『고려사』와 거의 똑같은 형태로 전해지고 있다. 문제는 명 측의 기록이 교묘하게 서로 다르다는 점이다. 『명태조실록』에서는 공민왕을 책봉하는 조서와 誥命을 모두 기록을 해놓았지만, 정작 조서의 실제 내용은 『고려사』의 우왕 책봉 조서와 거의 동일했다. 즉, 우왕을 책봉할 때 보낸 조서를 공민왕을 책봉할 때 반포한 조서로 조작해 놓은 것이다. 그리고 『명집례』나 『대명태조황제어제집』은 제목에는 고려국왕 왕전(즉, 공민왕)을 책봉하는 ‘조서’라고 기록했으나 실제 내용은 『고려사』와 『명태조실록』에 실린 誥命을 적어 놓았다. 이렇게 되면서 도대체 홍무제가 공민왕을 책봉할 때에 인장과 함께 誥命만 보낸 것인지, 아니면 조서와 誥命을 함께 보낸 것인지 확실하게 판단하기가 어려워졌다. 그러나 공민왕 책봉의 誥命과는 전반적인 내용은 비슷하나 문장은 다른 고려국왕 책봉 조서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고, 본 논문에서는 이를 공민왕을 책봉할 때 반포한 조서로 추정하였다. 1350년대 말부터 주원장 휘하에서 문인 관료로 활약했던 왕위의 『왕충문집』에 수록된 이 조서는 공민왕 책봉 誥命과는 별도로 공민왕 책봉 조서가 實在했음을 뒷받침하는 증거로 삼을 수 있다. 왕위의 생존 기간, 조서의 내용 등을 통해서 『왕충문집』의 고려국왕 책봉 조서를 받는 대상은 공민왕이 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결국 홍무제는 『명태조실록』의 기록대로 공민왕을 고려국왕으로 책봉할 때 조서, 金印, 誥命을 함께 보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다만, 이 조서가 왜 『왕충문집』과 이를 참조로 편찬된 『명문형』에만 남아 있고 『고려사』나 『명태조실록』 등 국가가 편찬한 기록에서는 전혀 확인할 수 없는지 그 이유가 분명하지 않다. 의도적인 누락이었는지, 혹은 양쪽 기록의 실수였는지 그것도 아니면 조서는 문집에 기록으로만 남아 있고 실제로는 고려에 전달되지 않은 것인지 등의 의문까지는 해소하지 못한 것이다. 차후 고려-명 관계사 연구의 진전과 『왕충문집』에 수록된 자료의 성격에 대한 추가적 연구가 이루어져서 여러 의문점에 대한 실마리가 나오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start with the record of the arrival of Ming's envoy in May of the 19th year of King Gongmin(1370) to officially appoint King Gongmin as the King of Goryeo, and try to find and give meaning to the record of the cefeng(冊封) of King Gongmin while keeping in mind the situation of the early formation of the Goryeo-Ming relationship. In the Goryeo history, only the existence of gaoming(誥命) appears as a document delivered when King Gongmin was appointed as King of Goryeo by Emperor Hongwu(洪武). And in the records of the Ming side, the same content of gaoming is transmitted in almost the same form of Goryeo history with only some characters changed. The problem is that the Ming records are subtly different. While Veritable Record of Ming Taizu records both the royal edict(詔書) and the gaoming to appoint King Gongmin, the actual content of the royal edict was identical to the edict to appoint King Wu of Goryeo. In other words, the royal edict sent to appoint King Wu was mistakenly recorded as the edict sent to appoint King Gongmin. As a result,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with certainty whether Emperor Hongwu sent only the seal and the gaoming, or both the edict and the gaoming, when he appointed King Gongmin. However, this paper have found that there is a royal edict of Emperor Hongwu that is similar in overall content to the gaoming but different in text, and this paper assumes that it is the royal edict that was issued at the time of the King Gongmin's appointment. This document, which was included in the collection of Wanghui(王褘), a literary bureaucrat who served under Emperor Hongwu from the late 1350s, can be used as evidence to support the existence of a document for the cefeng of King Gongmin apart from the gaoming for the appointment of King Gongmin. In the end, it can be assumed that Emperor Hongwu sent the royal edict, gold seal, and gaoming together when he appointed King Gongmin as King of Goryeo as recorded in the Veritable Record of Ming Taizu. However, it is unclear why this document is only found in the collection of Wanghui and not at all in records compiled by the state, such as the Goryeo History or Veritable Record of Ming Taizu. Whether this was an intentional omission or a mistake on both sides, or whether the document was only recorded in a collection of documents and never actually delivered to Goryeo, remains to be seen. It is hoped that future advances in the study of Goryeo-Ming relations and further research will shed light on many of these questions.

목차

Ⅰ. 머리말
Ⅱ. 공민왕이 받은 誥命 기록과 조서 기록의 부재
Ⅲ. 王褘의 『王忠文集』에 실린 ‘封高麗國王詔’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권용철. (2023).홍무제의 공민왕 책봉 조서의 實在. 역사문화연구, (), 135-158

MLA

권용철. "홍무제의 공민왕 책봉 조서의 實在." 역사문화연구, (2023): 135-15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