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f Flipped Classroom Model for Large-scale Korean Language Teaching Method
-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
- 저자명
- 박진욱
- 간행물 정보
- 『이중언어학』제57호, 75~102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aper is aimed to conduct research on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carried out in university undergraduate and to suggest the most appropriate teaching model for those classes. Even though there is an increased number of Korean classes at university level, a limited number of research has taken in terms of teaching methods. As a result, the paper examined the status of communicative Korean language classes at university and suggested a teaching method based on characteristics of those Korean classes. The researcher developed and applied teaching technique model by using formative research and modified the model according to those problems occurred during the application stage. In conclusion, the study stated that flipped classroom is the most appropriate teaching technique that is applicable at university level. In addition, the research suggested some considerations can be taken in advance of applying those teaching techniques. Therefore, the future research about developing teaching metho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lass will be required in terms of managing Korean language classroom.
목차
1. 들어가며
2. 대학 내 한국어 수업 현황
3. 역진행 수업(flipped classroom)과 한국어 수업
4. 대단위 한국어 수업 모형 개발
5. 나오며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급 한국어 학습자의 토론 담화에 나타난 조사 오류 양상 분석
- 말하기 전략 개발을 위한 과제 구성 방안
- 영어권 교포 학습자의 한국어 격조사 처리에 관한 ERP 연구
- Rasch 모형을 통한 대학생의 이문화 적응 태도 분석
- 문화향유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모바일 학습(Mobile-Learning) 연구
- 대단위 한국어 수업을 위한 역진행 수업 (flipped classroom) 모형 개발 연구
- 문장 생성 능력 향상을 위한 한국어 문장 교육 내용 연구
- ‘세종한국어 1~8’의 교수요목 설계 및 단원 구성 방안
- 아동 대상 한국어 문식성 교육을 위한 총체적 언어 접근의 비판적 적용
- 해외 거주 한국어 초급 학습자 대상 한국 문화 교육 방안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