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소명의식과 서비스 질의 관계에서감성지능의 매개효과
이용수 113
-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ing a Calling and Service Quality of Personal Assistant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 저자명
- 김재두 황인옥
- 간행물 정보
- 『상담심리교육복지』10권5호, 33~45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0.31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소명의식과 서비스 질의 관계에서 감성지능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상남도 K시 장애인활동지원기관 4개소에 소속되어 활동하고 있는 장애인활동지원사이고, 총 308부의 설문지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소명의식, 감성지능, 서비스 질 간의 모든 변인들은 유의한 정적상관이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소명의식과 서비스 질의 관계에서 감성지능의 부분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즉,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소명의식이 서비스 질로 가는 직접경로와 소명의식이 감성지능을 매개로 하여 서비스 질로 가는 간접경로가 모두 유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서비스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소명의식과 감성지능을 높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in therelationship between perceiving a calling and service quality of personal assistants for peoplewith disabilit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personal assistant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belonging to four disability activity support organizations in K-city, Gyeongsangnam-do, and atotal of 308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ll variables among perceivinga calling,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rvice quality of personal assistants for people withdisabilities. Second,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was confirmed in therelationship between perceiving a calling and service quality of personal assistants for peoplewith disabilities. That is, both the direct path from perceiving a calling to service quality andthe indirect path from perceiving a calling to service quality through emotional intelligence weresignifica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increase perceiving a calling andemotional intelligence in order to improve the service quality of personal assistants for peoplewith disabiliti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상담심리교육복지 10권5호 목차
- 예비 유아 교사의 소명의식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 효과
- 아동·청소년기 복합외상 경험과 대인관계 문제와의 관계
- 사회적 거리두기 정책이 코로나19 감염 위험 저감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정신건강, 부모양육태도,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서비스업 청년근로자의 대학교육에 대한 인식이 긍정정서와 부정정서에 미치는 영향
- 아동의 그릿(Grit)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행복감과 집행기능곤란의 이중매개효과
- 예비유아교사의 디지털 역량과 테크놀로지 자기효능감이 디지털 활용 교육의향에 미치는 영향
- 초기성인기의 내현적 자기애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 부모의 우울과 사회경제적 지위 유형에 따른 아동의 문제행동, 학교적응과 가정환경자극 간의 차이
- 후천적 장애인의 장애 발생 이후 심리적 변화과정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상담자의 불안정 성인애착과 작업동맹의 관계
- 보육교사교육 관련 연구논문의 동향 분석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소명의식과 서비스 질의 관계에서감성지능의 매개효과
- 청소년 채팅 상담자의 채팅 상담 경험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노인의 초기 애착이 죽음 인식에 미치는 영향: 성인 애착과 삶의 만족의 직렬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대학생의 애착불안정성과 우울감의 관계: 사회비교 경향성과 소속감의 다중매개효과
- 복합적 사별을 경험한 가족의 메타버스 VR 기반 가족애도상담 사례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