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난독증 학생을 가르치는 강사가 인식하는 읽기 및 쓰기 교육용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현황과 활용 경험 분석

이용수 9

영문명
Analysis on Experience of Hangul Learning application in instructors teaching students with Dyslexia
발행기관
한국특수교육학회
저자명
김동일 조영희 김희은 이진우
간행물 정보
『특수교육학연구』제56권 제1호, 139~164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6.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난독증 학생 지도 과정에서의 읽기 및 쓰기 교육용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이하 앱) 적용 가능성을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현재까지 국내에 출시된 읽기 및 쓰기 교육용 앱의 현황을 분석하였고, 실제 난독증 학생 중재과정 중 앱 활용 경험이 있는 지도강사들의 경험을 분석하였다. 앱 현황 분석을 위해 대표적인 스마트폰 앱 플랫폼에서 읽기 및 쓰기 학습 관련 앱 111개를 선정하고, 이 앱들의 학습 내용, 학습활동 유형, 상호작용 유형, 초등학생 적용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경험 분석을 위해 앱을 활용한 난독증 학생 중재 경험이 있는 지도강사 6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진행한 후 질적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학습 내용은 음운인식(66.7%), 학습활동 유형은 개인교수형(45.0%), 상호작용 유형은 학습자-콘텐츠(93.7%)가 가장 빈도가 높았으며, 초등학생에게 적용 가능한 앱의 비율은 32.4%로 적은 비율이었다. 앱을 활용한 난독증 지도 경험 분석에서는 난독증 중재에 효과적이었던 앱 기능, 강화 및 보상 방식, 동기 및 흥미 유지를 위한 방식, 그리고 향후 난독증 중재를 위한 앱 개발에 대한 제언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따라 난독증 및 기초학습부진 학생의 읽기 및 쓰기 지도를 위한 교육용 앱의 활용 방안 및 중재를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and the applicability of mobile applications in regard to teaching both reading and writing for dyslexic students. For this purpose, we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mobile applications for reading and writing education released in Korea, then we analyze the experience of instructors who have taught dyslexic students by using mobile applications. To analyze the status of applications, 111 applications were selected and analyzed for learning contents, type of learning activity, and the type of interaction, and applic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experience analysis, interviews with 6 instructors, who have experience in intervening with dyslexic students through the use of applications were conducted by way of focused group interviews (FGI). As a results, phonological awareness(66.7%) in learning contents, private teaching(45.0%) in learning activity, learner-content(93.7%) in interaction types were the most frequent. The rate of applications that were applicable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small(32.4%). From the experience analysis, we derived the following results: the effective functions for dyslexia intervention, reinforcement and reward methods, ways for maintaining motivation and interest, and suggestions on application development for dyslexia intervention.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ways to utilize educational applications used for teaching and implications for mediation among students with dyslexia or under-achievemen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동일,조영희,김희은,이진우. (2021).난독증 학생을 가르치는 강사가 인식하는 읽기 및 쓰기 교육용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현황과 활용 경험 분석. 특수교육학연구, 56 (1), 139-164

MLA

김동일,조영희,김희은,이진우. "난독증 학생을 가르치는 강사가 인식하는 읽기 및 쓰기 교육용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현황과 활용 경험 분석." 특수교육학연구, 56.1(2021): 139-16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