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서부지역 청동기시대 후기 취락의 특징과 전개

이용수 189

영문명
The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of Late Bronze age settlement in midwest region
발행기관
호서고고학회
저자명
이승현
간행물 정보
『호서고고학』56집, 108~142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0.31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중서부지역 청동기시대 후기 사회의 문화접촉과 문화변동과정을 분석한 것이다. 우선 청동기시대 후기를 3개 시기로 구분한 후, 시기별 취락 입지, 입지별 생업경제, 시기별 문화접촉강도, 문화접촉의 동인에대해 살펴보았다. 초기의 취락은 고지성 입지에 조성되었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저지대의 구릉성 입지로 확대되었다. 이러한 입지 유형의 변화는 생업경제 특히 농업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이러한 변화와 함께원형점토대토기문화와 역삼동·송국리유형의 문화접촉의 강도 또한 시간이 지날수록 증가하였다. 이러한 문화접촉의 배경에는 토기를 통한 유형간의 생계 교류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다음으로 역삼동·송국리유형 취락에서 외래계요소의 등장과 변화과정을 통해 문화접변과 문화변동과정에 대해 살폈다. 1기에는 취락에서 확인되는 수석리식토기의 개수가 적은 데 반해, 재지계 무덤에서 원형점토대토기와 흑도장경호가 세트로 부장되는 양상이 주로 확인되었다. 이는 유형 간의 지속적인 문화접촉보다는 일회성 이주와 같은 단발적인 접촉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2기에는 원형점토대토기문화 취락이 구릉성 입지로 확대되고 유형 간의 접촉 또한 증가한다. 일부 취락에서는 수석리식토기가 다수 확인되거나 수석리식토기를 모방한 토기가 출토된다. 또한 수석리식토기를 자체 생산하는 취락도 확인된다. 이는 문화접촉이 다변화되면서 다양한 문화접변현상이 일어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현상들은유형 간의 갈등관계가 해소되고 공생관계가 시작되면서 생계 교류가 활성화된 것과 관련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3기에는 유형 간의 공생관계를넘어서서 원형점토대토기문화로의 변동과정이 확인된다. 역삼동·송국리유형 취락에서 수석리식주거지 및 적석목관묘 등의 외래계 물질문화가등장하고, 외래계토기의 비율이 재지계토기보다 높아지는 것에서 알 수있다. 이와 같이 중서부지역 청동기시대 후기 사회들은 시간이 지날수록갈등관계가 해소되고 문화접촉의 강도가 커지면서 여러 형태의 문화접변현상들이 나타나고 최종적으로는 원형점토대토기문화로 문화변동이 일어난 것으로 정리해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nalyzes the cultural contact and cultural change process of late Bronze Age societies in the Midwest region. First of all, the late Bronze Age was divided into three periods and examined the change in the location of settlement, subsistence economy of each location, intensity of culture contact, motives of culture contact. The settlement was initially built in the highlands, but gradually expanded to the lowlands over time. These changes in location type were closely related to subsistence economy. The strength of cultural contact between the Round Clay-stripe pottery culture and the Yeoksamdong/Songgukri assemblage also intensified with time Because the number of Suseokri-type pottery increased in Yeoksamdong/Songgukri assemblage. The background of this cultural contact is presumed to be closely related to subsistence exchange between assemblages, as can be seen from the use of utilitarian pottery. Next, This study traced the emergence and change process of exotic elements in Yeoksamdong and Songgukri assemblage settlements. In the first period, it was confirmed that a set of Round Clay-stripe pottery and Black burnished long-necked jar were mainly buried in the graves of indigenous people. It can be seen that the Yeoksamdong and Songgukri assemblage accepted foreign culture to a certain extent, but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cultural contact between assemblages was once-off event such as a one-time migration rather than a continuous cultural contact since the number of Suseokri-type pottery found in the settlements is small. In the second period, the Round Clay-stripe pottery culture settlement begin to expand the hilly location, and contact between assemblages also increases. a number of Suseokri-type pottery or a imitation pottery are found in some villages. Evidence of production of Suseokri-type pottery has been identified. These trends are believed to be associated with the resolution of conflict between assemblages and the initiation of a symbiotic relationship, leading to the activation of subsistence exchange. As a result, it is thought that cultural contact has diversified and various cultural acculturation have appeared. In the third period, the process of change to the Round Clay-stripe pottery culture beyond the symbiotic relationship between the assemblage is confirmed. In the Yeoksamdong and Songgukri assemblage settlements, foreign material culture such as Suseokri-type dwelling and wooden coffin tomb with stone mound appeared, and the proportion of foreign pottery is also higher than that of indigenous pottery. Thus, The societies in the late Bronze Age of midwest region gradually show a resolution oftombs of Pyoungyang Jinpari of Koguryo Kang, Hyun-sook conflicts and an increasing intensity of cultural contact over time, resulting in various forms of cultural acculturation. Ultimately, it can be summarized that cultural changes occurred in the Round Clay-stripe pottery culture.

목차

Ⅰ. 머리말
Ⅱ. 연구 대상 및 편년
Ⅲ. 취락입지와 문화접촉
Ⅳ. 중서부지역 청동기시대 후기 사회의 문화접촉과 문화변동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승현. (2023).중서부지역 청동기시대 후기 취락의 특징과 전개. 호서고고학, (), 108-142

MLA

이승현. "중서부지역 청동기시대 후기 취락의 특징과 전개." 호서고고학, (2023): 108-14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