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호서지역 마한·백제 주거와 유물 변천양상

이용수 120

영문명
The transition in the residences and relics of Mahan and Baekje in the Hoseo Region
발행기관
호서고고학회
저자명
장덕원
간행물 정보
『호서고고학』56집, 4~33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0.31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2세기부터 웅진기 이전까지의 자료를 기초로 호서지역의 주거문화와 유물양상을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호서지역의 주거지에서는 3세기 이전 자료가 없어 공백기로 남아 있었다. 그러나 미호강에서2세기대 유물이 출토되어 주거구조의 특징을 파악할 수 있었고, 한성백제의 영향으로 인식된 벽주식은 재지적 주거문화였음이 밝혀졌다. 점토+석재 부뚜막과 쪽구들은 4세기 중반 이전부터 사용하였다. 이것은 마한과 백제의 주거문화 구별에 있어 주거지의 내부구조보다 유물에기초한 분석이 이루어져야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동시에 화덕은 벽주식처럼 재지적인 문화와 더욱 연관하였을 가능성이 있었다. 그러나 유사한 시기의 일부 지역에서는 재지적인 4주식과 외부적인 呂·凸자형이결합한 주거형태가 확인되었는데, 이것은 내부시설과 다르게 마한세력이4세기 중반 이전부터 백제의 주거문화 즉 주거지의 외형적인 형태를 수용하려는 결과로 추정하였다. 4세기 중반 이후에는 점토+석재와 백제토기가 확인되는 방형주거지, 呂·凸자형주거지는 점차 증가하고, 동시에 일반적인 지상식건물지와 구획적택과 같은 주구부지상식건물지도 함께 증가한다. 이것은 마한의 중심취락에서 백제와 관련한 중심취락으로 이동하면서 생긴 주거문화의변화로 이해할 수 있고, 동시에 웅진천도의 배경과도 연결할 수 있었다. 유물에서는 격자문 장란형토기 이전의 모습이 관찰되었고, 출현시점은 기존의 견해보다 약간 빠를 가능성도 있었다. 그리고 4세기 중후반이전에는 호서지역 내 소지역 간 혹은 호남지역, 중부지역, 영남지역 등과 교류한 흔적이 관찰되었지만, 그 이후에는 호서지역 내 교류보다 백제와 영남지역과의 관계에 더욱 치중한 모습이 엿보인다.

영문 초록

The objectiv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transformations in dwellings and relics in Hoseo area based on data spanning from the 2nd century to the Ungjin period. Residential areas in the Hoseo region have a lack of historical data dating back to the third century. However, relics from the 2nd century were excavated from the Miho River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structures during that period. It was discovered that the residential structure, and Byeokju-style, which was recognized by the influence of Hansung Baekje, was found to have been a re-intellectual residential culture. Clay + stone furnaces and handicrafts have been in use since the mid-fourth century. This shows that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between Mahan and Baekje's residential culture by analyzing relics rather than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residential site, and at the same time, furnaces may be more related to rich culture like Byeokju-style. However, in some areas during the same period, residential forms that combine local four-column and external Yeo-cheol's CHARACTER SHAPED DWELLING were identified, which can be seen as the result of Mahan forces' acceptance of Baekje's residential culture before the mid-4th century. Since the mid-4th century, the number of the rectangular dwellings and Yeo-cheol's Character Shaped Dwelling where clay + stone and Baekje earthenware are identified has gradually increased, and at the same time, common-sense building sites such as general ground buildings and compartmental houses have also increased. This can be understood as a change in residential culture caused by moving from the central village of Mahan to the central village related to Baekje, and at the same time, it was also linked to the background of Ungjincheondo. From the relics, the appearance before the lattice-patterned long-range earthenware has been observed, and it may have appeared a little earlier than previously thought. Before the mid-to-late 4th century, traces of exchanges between regions in Hoseo region or Honam region, the central region, and the Yeongnam region were observed. After that, it can be seen that Baekje and Yeongnam region were more important than exchange occurring within the Hoseo region.

목차

Ⅰ. 머리말
Ⅱ. 주거형태와 분포현황
Ⅲ. 주거와 유물 변천양상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덕원. (2023).호서지역 마한·백제 주거와 유물 변천양상. 호서고고학, (), 4-33

MLA

장덕원. "호서지역 마한·백제 주거와 유물 변천양상." 호서고고학, (2023): 4-3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