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zing the Impact of Economic Policy Uncertainty on Short-Term and Long-Term Government Bond Yields
- 발행기관
- 한국자료분석학회
- 저자명
- 박유현(Yuhyeon Bak) 송철종(Cheol Jong Song)
- 간행물 정보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Vol.25 No.5, 1789~180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통계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0.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내와 해외의 경제정책 불확실성이 국내 장·단기 국채 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우선 국내 경제정책불확실성이 장기와 단기의 국채 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해외 경제정책 불확실성에 대한 국내 경제정책 불확실성의 비율로 구성한 상대적 불확실성을 이용하였다. 해외 경제정책 불확실성으로 일본, 중국, 미국을 고려하였다. 또한 주성분분석을 통해 한국의 경제정책 불확실성을 한국 고유 요인과 주변국과의 공통 요인으로 구분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경제정책 불확실성은 장기와 단기 국채 수익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경제정책 불확실성 중 한국의 고유 요인은 단기 국채 수익률을 유의하게 상승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본, 중국, 미국의 경제정책 불확실성은 한국의 단기국채 수익률을 상승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상대적 경제정책 불확실성을 이용한 경우, 한국의 경제정책 불확실성이 중국보다 상대적으로 커질 때 한국의 단기 국채수익률이 상승하였다. 이는 경제정책 불확실성을 국가 고유 요인과 공통 요인으로 구별해야 불확실성이 국채 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impact of Korean and foreign economic policy uncertainty on Korean short-term and long-term government bond yield. First of all, the effect of domestic economic policy uncertainty on short-term and long-term government bond yields was analyzed, and then relative policy uncertainty, which was constructed as a ratio of Korean economic policy uncertainty to foreign economic policy uncertainty, was used. Japan, China, and the United States were considered for foreign economic policy uncertainty. In addition, through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Korea's economic policy uncertainty was divided into Korea-specific factors and common factors with Japan, China and USA.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Korea's economic policy uncertainty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long-term and short-term government bond yields. Second, Korea's unique factor in economic policy uncertainty was found to significantly increase short-term government bond yields. Third, the economic policy uncertainties of Japan, China, and the US have been shown to increase Korea's short-term government bond yields. Fourth, in case of analyzing the effect of relative economic policy uncertainty, Korea's short-term government bond yield rises when Korea's economic policy uncertainty is relatively greater than China's. This implies that the impact of uncertainty on government bond yields can be clearly understood only when economic policy uncertainty is distinguished as a country-specific factor and a common factor.
목차
1. 서론
2. 선행연구
3. 연구자료
4. 실증분석
5.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Bottom-Up Projection of Regional Carbon Emissions from Passenger Road Vehicles Based on Discrete-Time Markov Chain
- 간호대학생 대상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 토픽모델링을 이용한 자율주행 연구 동향 분석
- 낙상 경험, 낙상 두려움, 낙상 두려움으로 인한 활동제약이 노쇠에 미치는 영향
- 전자의무기록 데이터와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한 중환자실 사망 예측모델 개발
- 임상간호사의 임종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요인
- 아시아 국가들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 COVID-19 발생 전후 ESG 투자성과가 유동성에 미치는 영향
- 경제정책 불확실성이 장단기 국채 수익률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동형암호를 활용한 앙상블학습방법의 추론
- 토픽모델링과 시계열 분석을 활용한 국내외 독과점 산업 연구 동향 분석
- 금융 시계열 예측 신경망에서의 과적합 완화를 위한 임의 증강 기법
- 기계학습을 이용한 스마트 공장 자료의 불량 분류 모형 개발
- 112 신고 건수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 분석
- 토픽 모델을 활용한 지역 글로벌 컨퍼런스에 대한 참여자 만족도 분석
- 전통적 IPA와 Vavra의 수정된 IPA 비교분석을 통한 설악문화제 활성화 방안
- 범주 불균형 금융 문제의 해결을 위한 부스팅 학습
- 보험회사의 신종자본증권 발행과 기업가치 관련성
- 부산 경남지역의 지역내총생산 동조성에 관한 연구
- 기술적 비효율성의 오지정이 확률변경모형의 최대가능도 추정에 미치는 영향
- XAI SHAP 기반 토지 피복 구성에 따른 지표면 온도의 영향 분석
- 함수형 시계열 자료를 위한 추정 및 예측모형과 응용
- A Study about Inequality in the Scholarly Publishing of Korean Research Institutions using the Gini Coefficient
- 희박한 최소 절대 편차 지지벡터기계
- Vector Generalized Additive Models for Extreme Rainfall Data Analysis: A case study in South Korea
- 다문화 학령기 아동의 자아존중감 모형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Vol.25 No.5 목차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감정 비율 단어 그래프
- 예상치 못한 외국인 순매도로 인한 비대칭적 변동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