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클로에 들롬(Chloé Delaume)의 『코르퓌스 심시(Corpus Simsi)』에 나타난 가상현실적 자아와 여성성
이용수 15
- 영문명
- Le moi virtuel et la féminité dans Corpus Simsi de Chloé Delaume
- 발행기관
- 한국프랑스문화학회
- 저자명
- 이송이
- 간행물 정보
- 『프랑스문화연구』제58집, 353~380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현 프랑스 문학계의 오토픽션 현상을 그대로 보여주는 여성작가라고 할 수 있는 클로에 들롬은 자신의 이야기를 발표하고 있는 프랑스 작가들 중에서 가장 실험적인 작가로 간주될 수 있을 것이다. 주인공이 게임의 가상현실 속으로 들어가 아바타를 만들고 게임을 진행하는 내용을 담고 있는 『코르퓌스 심시』(2003)는 작가의 이러한 특징을 특히 잘 보여주고 있다. 이 소설은 21세기에 더욱 모호해지는 자아의 경계와 실체를 그대로 재현하고 있기 때문이다. 들롬은 주체의 절대성을 확인하는 장르로 흔히 알려진 자전적 이야기들을 자아의 불안정함을 드러내고 자아의 견고함이라는 환상을 주는 이데올로기를 해체하기에 가장 적당한 장으로 독자에게 제시하고 있다. 들롬은 작가, 등장인물, 독자를 모두 컴퓨터 게임의 이용자의 위치에 중첩시키고 컴퓨터 게임의 방식을 오토픽션의 서사 양식에 적용시켜 고전적인 서사에 존재하는 작가와 등장인물, 독자 간의 고정된 위계를 사라지게 만든다. 더불어 들롬은 여성을 화자이자 주인공으로 등장시켜 『코르퓌스 심시』를 여성 정체성의 실체를 찾아가는 더욱 특별한 실험의 장으로 구현하고 있다. 즉 들롬은 문학적 모험을 통해 가상현실적 자아와 여성 정체성과의 접점을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작가는 여성적 정체성이 드러내는 유연성과 연대성에 새로운 가치를 부여하고 장르와 젠더에 균열을 일으키면서 미래의 자아의 모습을 우리에게 미리 선사하고 있는 것이다.
영문 초록
L’œuvre de Chloé Delaume incarne le phénomène actuel de “l'autofiction” dans la littérature française depuis quelques années. Corpus Simsi(2003) l’illustre bien dans la démarche autobiographique les plus expérimentales et novatrices. Le roman représente en effet les frontières floues du moi et la question identitaire de notre siècle. Chez Delaume, souvent perçu comme genre affirmant l'absolu du sujet, le récit autobiographique se renouvelle en profondeur. Ce texte permet aux lecteurs de trouver l'instabilité du moi et la dissolution de son unité.
L’auteure transgresse le genre autobiographique en mêlant le point de vue de l’auteur, du personnage et du lecteur en les positionnant en tant que joueur de jeux vidéo et en y respectant ses codes. Cette prise de position dissout la hiérarchie fixe entre leurs positions dans la narration classique.
En outre, narratrice et protagoniste féminin transforment Corpus Simsi en expérience spécifiquement unique pour la recherche de l'identité féminine. En revalorisant la pluralité et la solidarité de l'identité féminine, Delaume nous préfigure nos futurs moi, tout en créant une rupture entre les genres et les sexes.
목차
1. 들어가는 글
2. 유희와 전유의 글쓰기
3. 해체와 탄생
4. 사이버성과 여성성
5. 컴퓨터 게임과 여성적 글쓰기
6. 나오는 글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디지털 교육매체의 발달과 외국어로서의 프랑스어 교육에 관한 고찰
- 퐁주의 ‘태양’
- 클로에 들롬(Chloé Delaume)의 『코르퓌스 심시(Corpus Simsi)』에 나타난 가상현실적 자아와 여성성
- 아프리카 망명 작가의 불편한 프랑스어
- 『악의 꽃』 미시독서
- 과학기술에 대한 미셸 우엘벡의 비관적 전망
- 희생자 중심 기억의 장소 형성 과정 연구
- 18-19세기 프랑스 사회와 문화에 미친 오드콜로뉴의 영향력에 대한 고찰
- 빛 예술을 통한 도시적 상상력 구현 및 장소성 강화에 관한 연구
-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프랑스 문화 강의에 대한 연구
- 인류세 생태 위기와 속도 문명 성찰
- 파리 15분 도시계획과 2040 서울도시기본계획의 보행생활권 계획 특성 비교
- 프랑스 뮤지컬 연구
- 루이 파스퇴르의 백신 개발과 파스퇴르 연구소에 대한 윤리적 재고찰
- 마리즈 콩데의 『이반과 이바나의 경이롭고 슬픈 운명 Le fabuleux et triste destin d’Ivan et Ivana』에 나타난 폭력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NEW
- Cultural Integration and Innovation in Music Composition - Taking the First Movement of Bao Yuankai's Symphony No. 6 <Yanzhao> as An Example
- Really, Is it just “Backwards”?—Reevaluating Adorno's Multifaceted Analysis of Stravinsky
- Artistic Innovation:The Construction of Virtual Spaces in 2D Fantasy Film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