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 낙양 용문석굴의 관광개발 방안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이용수 107
- 영문명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Tourism Development Plan of Yongmun Stone Cave in Luoyang, China
- 발행기관
- 한국비교정부학회
- 저자명
- Wu Jing 강순화
- 간행물 정보
- 『한국비교정부학보』제27권 제3호, 297~31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 is a medium of local historical and cultural culture and an important foundation for leading the new development of the cultural and tourism indust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practical guidelines for tourism development in Yongmunseokgul Cave by exploring the protection and development status of Nakyang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 resources and new routes for tourism development through the analysis of empirical cases of the Yongmunseokgul Cave, a world cultural heritage
(Design/methodology/approach) This study collected related literature, photos, and data through channels such as CNKI (Chinese Knowledge Net) in China and complete data such as Luoyang Tourist Site, Luoyang Statistics Bureau website, and Luoyang Culture Bureau website. Based on this, the theoretical basis for this paper was secured by accurately grasp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protection and development of Luoyang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 resources and the current status of Yongmun Seokgul Cave.
(Findings) In the case of Yongmun Seokgul Cave in China, problems were analyzed due to lack of publicity and marketing, low information level, lack of safety management, lack of smart project content, and omission of tourist information sites. Based on these problems, modernization and optimization of tourism were presented.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This study aim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protection and development of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 resources in the Nakyang Yongmun Seokgul Tourist Site by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Nakyang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 resources and tourism development.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논의
Ⅲ. 낙양 역사·문화유산의 관광 현황
Ⅳ. 중국 낙양 역사·문화유산의 서비스 실태와 개선책
Ⅴ. 낙양 용문석굴 스마트관광 개발방안
Ⅵ.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The 70th Anniversary of the Korean War's Armistice and the Historical Implications of the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Uijeongbu City
- 오픈액세스 학술지와 부실의심학술지에 대한 오해와 이해에 관한 연구
- 중국 낙양 용문석굴의 관광개발 방안에 관한 탐색적 연구
-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Policies to Overcome the Crisis of Provincial Universities: Focusing on the Application of System Dynamics on Factors Affecting the Competitiveness of Provincial Universities
- 창업학기제 기반 창업교육과정의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Hotel Economic Trends Using Unstructured Big Data: Focusing on the Comparison of Pre-COVID-19 and COVID-19 Periods
- 노인요양시설 종사자 보수 실태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중국 스포츠관광 활성화를 위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 팬데믹 상황에서 재난 취약계층의 불안과 우울
- 중국 통링시 촌민자치가 공공서비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Exploring Research Trends on Emotional Labor in Social Welfare Using Keyword Networks
- 공공도서관 대출데이터를 활용한 공공대출보상금 적용 연구
- ‘대통령실 국민제안’ 활성화 방안
- 한·미·일의 코로나19 초기 재난대응 전략 비교 고찰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