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 캠퍼스 내에서의 범죄데이터 분석을 통한 취약요소 개선 연구

이용수 31

영문명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Vulnerable Elements through the Analysis of Crime Data on University Campuses
발행기관
한국셉테드학회
저자명
홍성진 이경훈 한기성
간행물 정보
『한국셉테드학회지』제14권 제2호, 9~48쪽, 전체 40쪽
주제분류
법학 > 민법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8.31
7,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 캠퍼스 범죄데이터 분석을 통해 범죄예방환경설계 요소를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선행연구를 통해 일상활동이론을 기반하여 ‘범의를 가진 범죄자, 취약한 피해자, 보호 능력 부재, 범죄 발생 장소와 시간의일치’ 4가지 관점에서 통계 분석하였다. 첫째, 범의를 가진 범죄자 분석이다. 절도 범죄자는 대학생, 교직원 등 내부인이 많았으나 반대로 성폭력과 폭력은 학교 구성원이 아닌 외부인에 의한범죄가 많았다. 일부 폭력 범죄자는 음주 상태였음이 확인되었다. 둘째, 취약한 피해자 분석이다. 범죄 피해자가 대학생 등 학교 구성원인 경우가 절도의 97.7%, 성폭력의 97.4%, 폭력의 80.8%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범죄유형별 피해자 성별은 절도의 경우, 남성이 51.9% 여성이 48.1%로 거의동일하였다. 성폭력은 97.4%가 여성 피해자지만 폭력은 76.9%가 남성 피해자이었다. 캠퍼스 절도 피해 물품의 경우, 쉽게 접근과 물품 이동이 가능한 가치가 높은 노트북과 지갑, 현금이 대부분이었다. 셋째, 보호 능력 부재 분석이다. 피해자나 절도 피해 물품이 보호하지 않은상태를 분석하였다. 절도 시점에서 자리를 비운 경우가 93.2%로 대부분이었다. 성폭력 시 주변에 도움을 요청할 보호자가 없는 경우가 76.3%로 높았다. 이와 반대로 폭력 상태에서 친구 등 사람이 있는 경우가 73.1%로 높아 폭력범죄자는 친구 등 주변인의 보호 여부는 중요하지 않아 보였다. 감시성 측면에서 살펴보았을 때 절도와 성폭력은 외부에서 잘 보이지 않고 출입문이 닫힌 강의실, 학생회실과 같은 폐쇄된 장소에서 많이 발생했지만 반대로 폭력은감시성이 높은 개방된 외부공간에서 발생하였다. CCTV의 절도 범죄 예방효과를 주장한 이론이 많지만, 본 연구에서는 캠퍼스 내에 CCTV 설치된 장소에서 더 많은 절도 범죄가 발생하였다. 넷째, 범행 발생 장소와 시간 분석이다. 범행 발생 장소는 학업공간(40.1%), 학생생활공간(15.2%), 옥외공간(12.2%), 도서관(8.1%) 순으로 발생하였다. 범행발생 시간은 12시부터 18시까지 오후 시간대에 가장 많았다. 다만, 폭력은 음주 등 수업 시간 이후인 야간 시간대에 주로 발생하였다. 본 연구의 캠퍼스 범죄데이터 분석을 통한 도출된 취약요소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캠퍼스 구성원인 대학생과 교직원의 보안 요구사항과 시공간적 위험특성을 감안한 종합적인 캠퍼스 보안 계획이 필요하다. CPTED 전략을 통해범죄예방 방안을 수립하며 자율과 창조적인 학업과 쾌적한 자연환경에 배치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design factors of CPTED through the analysis of crime data on university campuses. Through prior research, campus crime analysis was reflected based on the Routine activity theory, and campus crime data was analyzed from four perspectives: criminal with motivated offender, suitable target, absence of guardians, and matching place and the time of crime. First, it is the result of analyzing criminals with motivated offender. There were many crimes by insiders, especially college students, who are members of the school, and sexual assault and violence were committed by outsiders, not by school members. And It has been showed that some violent offenders are under the influence of alcohol. Second, in the results of analysis about suitable target, The proportion of victims of insider, such as students and faculty members, accounted for the majority with 97.7% of theft, 97.4% of sexual assault, and 80.8% of violence. In the analysis by gender, men accounted for 51.9% and women 48.1% of theft damage, while women accounted for 97.4% of sexual assault, but men accounted for 76.9% of violenc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most of the items damaged by theft were laptops, wallets, and cash that could be easily accessed and moved. Third, it is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absence of guardians. The state of not protecting the victim or the damaged item was analyzed. The theft was damaged while 93.2 percent were away, and in the case of sexual violence, 76.3 percent had no one to ask for help. However, violence occurred even in situations where 73.1% were around when it occurred. As a result of spatial analysis, theft and sexual assault were common in places such as closed lecture rooms and club rooms without being seen from the outside, and violence was mostly committed in open spaces outside. In terms of CCTV installation, theft occurred more in places where CCTVs were installed than in places where CCTVs were not installed. Fourth, in the result of analyzing the place and the time of the crime. As classifying by campus places, crimes occurred in the order of class room(40.1%), living space(15.2%), outdoor space(12.2%), and library(8.1%). As for the total crime time, crimes occurred the most during the afternoon from 12:00 to 6:00 pm, and violence occurred during the night time, which is the time after class. Through campus crime data analysis, comprehensive campus security plans are needed to take into account the user needs for security and spatiotemporal risk characteristics, and crime prevention measures should be established through CPTED's strategies.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crime prevention measures through CPTED strategies and to design them so that they do not go against autonomy, creative studies, and a pleasant natural environment.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고찰
Ⅲ. 캠퍼스 범죄데이터 분석 및 결과
Ⅳ. 대학 캠퍼스 범죄 취약요소 개선 방안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홍성진,이경훈,한기성. (2023).대학 캠퍼스 내에서의 범죄데이터 분석을 통한 취약요소 개선 연구. 한국셉테드학회지, 14 (2), 9-48

MLA

홍성진,이경훈,한기성. "대학 캠퍼스 내에서의 범죄데이터 분석을 통한 취약요소 개선 연구." 한국셉테드학회지, 14.2(2023): 9-4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