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어와 몽골어의 종결어미 대조 연구

이용수 80

영문명
A Contrastive Study on the Final Ending of Mongolian and Korean Language
발행기관
한국몽골학회
저자명
바야르마
간행물 정보
『몽골학』제74호, 29~64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8.31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한국어와 몽골어의 종결어미 체계를 대조하여 개별 종결어미의 의미와 기능에 따른 대응 양상을 살펴본다. 두 언어의 종결어미 체계를 대조하여 체계의 특징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한국어와 몽골어의 어미 체계의 경우, 한국어에서는 종결어미의 분류 기준은 문체법과 상대높임법 체계 두 가지이다. 한국어의 종결어미는 문장을 종결하므로 문체법이 기준이 되고, 종결어미가 상대를 대하므로 높임법이 하나의 중요한 기준이 된다. 반면에 몽골어에서는 종결어미를 시제와 인칭의 수에 따라 분류한다. 다음으로 한국어의 종결어미 분류 체계 중심으로 몽골어의 종결어미와 대조하여 유사점과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몽골어의 명령형어미가 한국어의 상대높임의 체계별 어미 형태와 제일 일치하게 대응되는데 그외 청유형, 약속형, 허락형과 경계형의 경우 각각 상대높임법 체계가 따로 나타나지 않고 한 형태와 대응된다. 또한 몽골어의 ‘-ya/ye/yo’형태가 화자의 의지를 나타낼 때 한국어의 약속형어미와 대응되고, 청자에게 공동 참여를 제안할 때 한국어의 청유형어미와 각각 대응되는 것을 봤을 때 한 형태소가 두 가지의 의미를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평서형어미, 감탄형어미와 의문형어미의 경우 동사와 형용사에 따라서 각각 대응되는 형태들이 다르다. 그렇지만 한국어의 한 형태에 대응되는 몽골어의 어미가 평서형의 경우 4개, 의문형의 경우 2개이다. 한국어의 종결어미는 상대높임법 체계에 따라서 형태들이 달라지고 모음조화규칙에 따른 이형태들이 있고 활용할 때에도 앞의 용언 어간이 모음이냐 자음이냐에 따른 이형태가 있어서 불규칙 활용도 유의해야 한다. 반면에 몽골어에서는 모음조화교칙에 따른 이형태가 있는데 불규칙 활용에 따른 이형태가 없다. 또한 한국어에 대응되지 않는 몽골어의 종결어미도 있다. 즉 몽골어의 축복 기원 ‘-tygai/tugei, 희망 -aasai4, -sygai/sugei, -g’ 어미는 한국어에서 대응되는 종결어미가 없다. 그렇지만 각각 기능과 의미 면에서 대응시킬 수 있는 문법 표현들이 있는데, 본고에서는 몽골어의 축복 기원 ‘-tygai/tugei’를 한국어의 ‘-기를 바란다’ 문법 표현과 대응시키고, 몽골어의 희망 ‘-aasai4’ 형태를 한국어의 ‘-었/았/였으면 한다’ 문법 표현, ‘-sygai/sugei’를 ‘-ㅁ’ 전성어미로, ‘-g’ 어미를 ‘-도 좋다, -도록 하다’ 문법 표현에 대응된다고 보았다. 이러한 종결어미의 체계 분류 및 기능적 대조 연구를 통해서 그간 이루어지지 않은 부분에 대해 밝힌다는 언어학적 의의도 있으며 이와 더불어 한국어-몽골어 번역이나 외국어교육 등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response patterns according to the meaning and function of individual termination endings by comparing the termination endings system of Korean and Mongolia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ystem are summarized as follows by comparing the termination ending system of the two languages. First of all, in the case of the Korean and Mongolian ending systems, there are two criteria for classifying the terminating endings in Korean: the sentence style and the Korean relative honorifics system. The ending of the Korean language ends the sentence, so the sentence style is the standard. In addition, Korean relative honorifics system becomes an important criterion because the ending end treats the opponent. On the other hand, in Mongolian, the ending i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ense and number of personal names. Next,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were examined in contrast to the end of Mongolian, focusing on the end of Korean. As a result, the imperative ending of Mongolian was most consistent with the ending form of each Korean relative honorifics system.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request ending, the promised ending, the permitted ending, and the boundary ending, respectively, it was Korean relative honorifics system did not appear separately and correspond to one form. In addition, when the Mongolian form of '-ya/ye/yo' indicates the speaker's will, it corresponds to the promised ending of the Korean language. When suggesting joint participation to listeners, it corresponds to the request ending of the Korean language, respectively. Looking at this, it can be seen that one morpheme represents two meanings. In the case of declarative, exclamatory, and interrogative endings, the corresponding forms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verb and adjective. However, there are four Mongolian declarative endings corresponding to one form of Korean, and two for the interrogative endings. The final ending of the Korean language varies according to the Korean relative honorifics system, and there are these forms according to the vowel harmony rule. In addition, when conjugation it, there is a form depending on whether the previous word stem is a vowel or a consonant, so irregular use should be noted. On the other hand, in Mongolian, there is a form according to the rules of vowel harmony, but there is no form according to irregular use. There is also an end to Mongolian that does not correspond to Korean. In other words, the Mongolian blessing origin '-tygai/tugei, hope -aasai4, -sygai/sugei, -g' does not have a termination ending corresponding to the Korean language. However, there are grammatical expressions that can correspond to each other in terms of function and meaning. In this paper, the Mongolian blessing origin ‘-tygai/tugei is corresponding to the Korean ‘-기를 바란다’ grammatical form, and the Mongolian hope ‘-aasai4’ is expressed in the Korean grammar form ‘-었/았/였으면 한다’, ‘-sygai/sugei’ as a “-m” genitive ending, and the “-g” ending is corresponding to the Korean ‘-도 좋다, -도록 하다’ grammatical forms. There will also be linguistic significance in revealing parts that have not been made through system classification and functional contrast studies of these termination ends. In addition, it is expected to be a basic material that can be used in Korean-Mongolian translation and foreign language education.

목차

1. 서론
2. 한국어와 몽골어의 어미 체계 대조
3. 종결어미의 분류 및 기능 대조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바야르마. (2023).한국어와 몽골어의 종결어미 대조 연구. 몽골학, (), 29-64

MLA

바야르마. "한국어와 몽골어의 종결어미 대조 연구." 몽골학, (2023): 29-6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