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역사문화거리 사운드스케이프의 유형에 따른 분석
이용수 40
- 영문명
- The Analysis of Historic and Cultural District Soundscape by Type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저자명
- 갈벽소 문정민
- 간행물 정보
- 『한국디자인리서치』Vol8, No. 3(통권 28권), 366~376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각 유형의 역사 문화거리와 사운드스케이프의 관련 개념을 연구하는 것이다. 중국 역사 문화거리 를 대상으로 지리, 연대, 공간, 물리 등 네 가지 측면에서 연구 범위를 설정했다. 본 연구는 주로 문헌연구법을 연구 방법을 삼아 역사문화거리의 특성을 분석했다. 거리의 기능과 환경 이미지에 따라 분류하고 다양한 유형의 거리의 특성을 분석한 다음 역사와 문화적 관점에서 사운드스케이프의 특성과 관련 구성요소를 분석했다. 음원에 따라 사운 드스케이프를 분류하고 특성과 관련 구성요소를 종합하여 역사와 문화적 측면에서 사운드스케이프의 특징을 도출했 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다양한 유형의 역사문화거리 사운드스케이프의 특성, 구성요소 및 특징과 같은 관련 개념을 도출하여 후속 연구에 대한 도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ncepts related to typology-based historic and cultural districts and soundscapes. The study is based on Chinese historic and cultural districts and is limited in four aspects: geographical, chronological, spatial, and physical. This study mainly adopts the literature research metho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historic and cultural districts, classify them according to their functions and environmental images,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types of districts. Then the characteristics and associated constituents of the soundscape are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history and culture, the soundscape i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ound source, and the characteristics and associated constituents are combined to derive the characteristics that the soundscape has in terms of history and cultu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concepts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constituent elements and features of different types of historic and cultural district soundscapes can be derived to provide a basis and foundation for further research.
목차
1. 서론
2. 이론적 고찰
3.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조선시대 장수(⾧壽) 문양을 활용한 텍스타일 디자인 연구
- 헤드업 디스플레이 디자인의 지각된 가치가 브랜드 애착에 미치는 영향과 관여도의 조절효과
- 팀랩의 미디어 아트에 나타나는 몰입적 공간표현 특성 연구
- 치유농업 서비스디자인 모델 연구
- 취침 전 스마트기기 사용 감소를 위한 디자인 개입 연구
- 인터렉티브 뉴미디어 아트의 촉각적 체험이 관람객의 몰입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이커머스를 위한 사용성 평가와 인페이지 분석 도구의 상호보완적 활용 방안 제안
- 유튜브 범퍼애드의 크리에이티브 전략에 대한 분석 연구
- 영화 포스터의 함축적 시각기호 분석 연구
- 역사문화거리 사운드스케이프의 유형에 따른 분석
- 어린이의 어포던스를 위한 교육앱의 UI 디자인 제안
- 애니메이션 스토리 창작을 위한 자기주도 학습과 생성형 AI 활용을 통한 교육 방식
- 심층 인터뷰 및 SWOT-PEST 분석을 통한 실내디자인 분야의 실감형 콘텐츠 활용 전략연구
- 실감형 미디어아트에 나타난 초현실주의 표현기법에 관한 연구
- 신(新)유형의 싱크홀 탐지기기 디자인을 위한 제품디자인 조건 설정 연구
- 스포츠 브랜드 플래그십 스토어의 공간체험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 소셜미디어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스마트 가전의 소비가치 분석
- 서비스디자인 프로세스를 적용한 재가노인을 위한 통합형 방문재가 서비스디자인 전략 연구
- 사례 분석을 통한 일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UX/UI 디자인 특이성 연구
- ‘라이브커머스 플랫폼에서 사용자 경험가치 형성’에 관한 연구
- 디지털 교통안전표지판의 사용성평가 지표 개발 연구
- 대학교 홍보를 위한 캐릭터디자인 연구
- 기후재난 안내를 위한 ‘경고 픽토그램’의 시각화 특징 연구
- 국내 대학의 창의·디자인 교양 교육 현황 및 방향성 연구
- 국내 광역관광안내지도 그래픽심벌 디자인 사례 연구
- 광고커뮤니케이션에서 나타나는 억압과 동일시가 소비자 설득 효과에 미치는 영향
- 공감각 가치속성에 근거한 공감각 메타포가 브랜드 경험상황에 있어 소비자의 지각적 가치에 미치는 영향
- 골계(滑稽,こっけい) 사상을 통해 살펴본 일본 생활용품 디자인의 특성에 관한 연구
- 3D유닛패턴 체계도 기반의 장식용 아트타일 개발과 호환성 검토
- NFT 마켓플레이스 플랫폼 사용성 향상을 위한 UX 사용성 연구
- CIE L*a*b* 시스템을 이용한 패키지디자인 색상 요소에 관한 연구
- Bloom’s 3단계 학습모델 기반 감성디자인 3단계 체계 측정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 Design-led Intervention for Reducing Overrealiance on Food Delivery Services(FDS): Design-led Intervention for sustainable behaviour
- A Study on User-Centered Brand Design from the context of Experience Design: Focused on Pet Supplies Industry in China
- 소수의 특성을 활용한 시각적 패턴에 관한 연구
- VR 기반 경도인지장애의 인지기능 향상을 위한 콘텐츠 디자인 연구
- 성장소설 표지디자인에 나타난 시각적 의미패턴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