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VR 기반 경도인지장애의 인지기능 향상을 위한 콘텐츠 디자인 연구
이용수 152
- 영문명
- A Study on Content Design for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 in VR-based Mild Cognitive Impairment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저자명
- 전설화 정정호
- 간행물 정보
- 『한국디자인리서치』Vol8, No. 3(통권 28권), 78~90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급격한 고령화로 인해 치매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치매의 전단계인 경도인지장애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이 중요하다는 점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해 경도인지장애의 기억력, 언어능력, 주의 집중력, 시각-공간 능력, 실행력, 지남력 등 6가지 인지기능을 알아보고, 게임형, 상호작용 가상현실, 소셜 VR 등 3가지 유형의 VR 콘텐츠에 대한 사례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인지기능 향상에 효과적인 VR 콘텐츠 디자인 요소를 도출하였고, 일상생활과 관련된 스토리텔링 요소, 손쉽게 소통 가능한 친화적인 상호작용 디자인, 가상 아바타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풍부한 의사소통의 환경, 그리고 사용자의 편의성과 접근성을 중심으로 경도인지장애의 인지기능 향상을 위한 VR 콘텐츠의 디자인 방향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방향성은 인지기능 증진과 치매 예방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increasing societal issue of dementia, resulting from rapid aging, has emphasized the significance of proactive intervention in 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which is a pre-dementia stage. This study examined six cognitive functions of individuals with MCI, including memory, language ability, attention, visual-spatial skills, executive function, and orientation, based on prior research. A cas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ree types of VR content: gamified, interactive virtual reality, and social VR. The study identified effective VR content design elements for cognitive improvement. It proposed design directions that focused on storytelling related to everyday life, user-friendly interactive designs for easy communication, a rich communicative environment with virtual avatars, and prioritizing user convenience and accessibility. These direction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enhancing cognitive functions and preventing dementia.
목차
1. 서론
2. 경도인지장애의 고찰
3. VR 콘텐츠 디자인의 이해
4. 경도인지장애의 인지기능을 위한 VR 콘텐츠 디자인 사례
5. 결론 및 제안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조선시대 장수(⾧壽) 문양을 활용한 텍스타일 디자인 연구
- 헤드업 디스플레이 디자인의 지각된 가치가 브랜드 애착에 미치는 영향과 관여도의 조절효과
- 팀랩의 미디어 아트에 나타나는 몰입적 공간표현 특성 연구
- 치유농업 서비스디자인 모델 연구
- 취침 전 스마트기기 사용 감소를 위한 디자인 개입 연구
- 인터렉티브 뉴미디어 아트의 촉각적 체험이 관람객의 몰입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이커머스를 위한 사용성 평가와 인페이지 분석 도구의 상호보완적 활용 방안 제안
- 유튜브 범퍼애드의 크리에이티브 전략에 대한 분석 연구
- 영화 포스터의 함축적 시각기호 분석 연구
- 역사문화거리 사운드스케이프의 유형에 따른 분석
- 어린이의 어포던스를 위한 교육앱의 UI 디자인 제안
- 애니메이션 스토리 창작을 위한 자기주도 학습과 생성형 AI 활용을 통한 교육 방식
- 심층 인터뷰 및 SWOT-PEST 분석을 통한 실내디자인 분야의 실감형 콘텐츠 활용 전략연구
- 실감형 미디어아트에 나타난 초현실주의 표현기법에 관한 연구
- 신(新)유형의 싱크홀 탐지기기 디자인을 위한 제품디자인 조건 설정 연구
- 스포츠 브랜드 플래그십 스토어의 공간체험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 소셜미디어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스마트 가전의 소비가치 분석
- 서비스디자인 프로세스를 적용한 재가노인을 위한 통합형 방문재가 서비스디자인 전략 연구
- 사례 분석을 통한 일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UX/UI 디자인 특이성 연구
- ‘라이브커머스 플랫폼에서 사용자 경험가치 형성’에 관한 연구
- 디지털 교통안전표지판의 사용성평가 지표 개발 연구
- 대학교 홍보를 위한 캐릭터디자인 연구
- 기후재난 안내를 위한 ‘경고 픽토그램’의 시각화 특징 연구
- 국내 대학의 창의·디자인 교양 교육 현황 및 방향성 연구
- 국내 광역관광안내지도 그래픽심벌 디자인 사례 연구
- 광고커뮤니케이션에서 나타나는 억압과 동일시가 소비자 설득 효과에 미치는 영향
- 공감각 가치속성에 근거한 공감각 메타포가 브랜드 경험상황에 있어 소비자의 지각적 가치에 미치는 영향
- 골계(滑稽,こっけい) 사상을 통해 살펴본 일본 생활용품 디자인의 특성에 관한 연구
- 3D유닛패턴 체계도 기반의 장식용 아트타일 개발과 호환성 검토
- NFT 마켓플레이스 플랫폼 사용성 향상을 위한 UX 사용성 연구
- CIE L*a*b* 시스템을 이용한 패키지디자인 색상 요소에 관한 연구
- Bloom’s 3단계 학습모델 기반 감성디자인 3단계 체계 측정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 Design-led Intervention for Reducing Overrealiance on Food Delivery Services(FDS): Design-led Intervention for sustainable behaviour
- A Study on User-Centered Brand Design from the context of Experience Design: Focused on Pet Supplies Industry in China
- 소수의 특성을 활용한 시각적 패턴에 관한 연구
- VR 기반 경도인지장애의 인지기능 향상을 위한 콘텐츠 디자인 연구
- 성장소설 표지디자인에 나타난 시각적 의미패턴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학예사의 문화 향유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피에르 부르디외의 문화자본 이론을 중심으로
- 지속가능발전교육 실천을 위한 미술과 수업 프로그램 개발
-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미술과 서술형·논술형 평가의 교육적 의의 및 적용 방향성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